[데스크칼럼] 인천국제여객터미널 배후부지, 인천시 적극 지원해야

김창수 인천본사 경제부장 cskim@kyeonggi.com
기자페이지

수년간 서로 다른 법 적용과 부처 간 이기주의로 개발에 차질을 빚어왔던 인천 아암물류단지 및 국제여객터미널의 토지이용 계획이 최근 확정돼 동북아시아 해양관광메카를 향한 인천항 개발에 날개가 달렸다.

‘해양 관광객 300만 시대’, ‘제2의 개항’을 이뤄낼 획기적인 프로젝트에 시동이 걸린 만큼 지역 경제활성화와 고용창출 등 엄청난 경제적 효과가 있을 인천국제여객터미널 배후부지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 이젠 인천시가 공격적인 도시계획 등 전폭적인 지원에 나설 차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6일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아암물류단지 및 국제여객터미널 개발계획(변경)을 승인 고시했다.

연수구 송도동 297번지 일원의 새 국제여객터미널 및 배후부지의 토지이용계획이 확정된 것으로 주요 변경사항은 기존 계획상 항만부지로 제한된 터미널 인근지역과 항만배후부지 일부가 복합지원용지(67만3천620㎡)로 바뀐 것이다.

이번 개발계획 변경 노력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새 국제여객부두와 터미널 건설이 논의되면서 배후부지를 특화된 해양문화 관광단지로 개발하자는 의견이 나오면서 해당 부지의 완충녹지를 조정하려 했으나 항만법(2006년 배후단지 고시)과 경제자유구역법(2008년) 적용을 받아 당시 국토부와 지식경제부를 설득시켜야만 했다.

각 법에 따라 국토부와 지식경제부가 수립한 토지이용계획은 부처 간 이견조율 없이 수립돼 도시계획상 도로 배치가 다른가 하면 항만배후부지 중앙에 아파트 부지가 배치되는 등 제각각임에도 불구, 양 부처는 이기주의를 내세워 복합지원용지를 마련해야 하는 인천항의 염원을 외면했다.

결국, 인천지역사회와 지역국회의원, 인천시, 인천경제청 등이 나서서 새 정부 출범 후 바뀐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의 이견을 성공적으로 조정해 5년여 만에 개발계획 변경을 이뤄냈다.

인천항만공사는 변경된 배후부지에 디즈니랜드, 유니버설스튜디오 등 세계적 레저명소 개발로 이름 높은 커닝햄사의 자문을 받아 확보한 복합지원용지를 워터 시티(Water City)를 콘셉트로 하는 레저형 친수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오랜 기간 바다와 단절된 공간에서 살아 바다의 매력을 쉽게 느끼지 못하는 시민에게 친수공간을 제공하고 엔터테인먼트 센터, 호텔, 휴양형 리조트, 한류공연장 등을 조성해 밀려드는 전 세계 크루즈 관광객 유치 등 ‘해양관광객 300만 시대’를 열어 가겠다는 것이다.

올해 총 111척의 크루즈가 16만명의 관광객을 태우고 인천항에 입항해 1인당 46만원 쇼핑에 따른 최소 736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에서 인천항만공사의 이 같은 계획은 제2개항에 걸맞는 획기적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프로젝트라도 해외 관광객이 인천 편안히 체류하면서 국내 관광을 즐기고 새로운 관광명소를 찾아올 국내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서는 편리한 교통체계 구축은 필수다.

따라서 인천시는 현재 송도 6·8공구로 연장을 추진 중인 인천지하철 1호선을 3㎞밖에 떨어지지 않은 국제여객터미널 배후부지까지 연장하고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 진입로 개설을 위한 도시계획을 서둘러야 하며 추후 유관부처 협의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항만지구이자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인천국제여객터미널 배후부지에 대한 투자 활성화는 물론 국가 전체 성장 동력을 견인하기 위해 기재부가 송도를 유망 서비스산업 발전 허브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견인하는 일인 만큼 인천시의 적극적인 화이팅을 기대해 본다.

 

김창수 인천본사 경제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