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지난 15일 용이동 소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참전비에서 남아공 6,25참전 제63주년 기념 및 추도식을 갖고 산화한 37명 영령들의 넋을 추모했다.
6,25참전유공자회 평택시지회(회장 유치중)에서 주관하고 평택시와 국가보훈처에서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김선기 평택시장, 힐튼 안소니 데니스 남아공대사, 평택시의회 임승근 부의장을 비롯한 김인식, 송종수, 김숭호의원, 원인철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이재익 수원보훈지청장, 지갑종 유엔한국참전국협회장, 윤흥만 광복회시지회장과 보훈단체장, 참전유공자회 회원 등 250여명이 참석해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며 헌화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참전 기념비는 6,25전쟁시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남아공에서 파견한 공군들이 전투에서 세운 공적을 기리고 전쟁시 산화한 37명 영령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 건립됐다.
특히 남아공은 1950년 10월 16일부터 휴전후인 1953년 10월 29일까지 유엔참전 16개국 중 유일하게 공군(826명)만을 파견하였으며 ‘창공의 치타’로 불리는 제2전투비행대대는 북한군 탱크 44대, 고사포진지 147개소, 교량 152개소, 각종시설 1만920개소를 폭격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린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선기 평택시장은 추도사를 통해 6,25 전쟁 시 이역만리 낮선 땅에서 산화한 37명의 꽃다운 젊은이들의 넋을 추모하고, “한국의 성장과 발전이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더욱 빛나게 하고 있다”며 “한국과 남아공은 튼튼한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고 동맹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전사자 추모와 양국간의 친선을 강조했다
평택=김덕현기자 dh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