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리 주민 반발 부른 진접선 차량기지 어디로…

대책위 주장 ‘제3의 지역’ 남양주시, 국토부에 통보 고지대 단점 수용 미지수

남양주시 진접읍 주민들의 숙원 사업인 ‘진접선(4호선 연장) 건설’이 확정됐지만 서울 창동 차량기지 이전 지역으로 진접읍 금곡리가 발표되자 지역주민들이 반발(본보 9월16일자 10면 보도)하는 가운데 시가 주민들의 의견을 담은 공문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해 향후 대체지역 선정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이 원하는 차량기지 지역이 고지대인데다 산절개 및 토목공사비 등 이전비만 수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남양주시는 차량기지 위치 선정에 고심하며 여전히 안갯속을 걷는 실정이다.

24일 남양주시와 기지창 결사반대 대책위원회 등에 따르면 서울지하철 4호선 연장구간인 진접선은 당고개역에서 남양주시 별내지구와 오남지구를 거쳐 진접지구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연장 14.5㎞, 정거장 3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1조1천938억원이다.

그러나 차량기지 이전 지역이 진접읍 금곡리로 발표되자 금곡리 주민들로 구성된 대책위는 소음과 전자파 발생 등 주변환경 파괴를 우려, ‘대체 지역 마련’을 촉구하며 그동안 수십여회에 걸쳐 집회를 실시해 왔다.

이에 따라 남양주시는 최근 최형근 부시장과 해당 국·과장을 비롯한 실무자가 대책위와 긴급 면담을 실시, 현재 검토되고 있는 ‘기본계획안(금곡리)’을 주민들의 요구사항인 ‘3안(큰가마솥골)’로 이동해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국토교통부에 발송, 대체지역에 대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잇단 항의에 면담을 실시한 뒤 요구안을 담은 공문을 국토교통부에 보내게 됐다”며 “아직 설계과정 단계여서 어떻게 진행될 지 모르겠지만 이전 비용만 수천억원에 달해 더욱 많은 고민을 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