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다문화가정의 해체인 이혼 건수가 지난 10여년 동안 7배 이상 증가했고 평균 혼인 유지기간이 3년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다문화가정의 해체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보건사화연구원이 조사한 ‘다문화가족의 특성 변화와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2년 동안 다문화가정의 이혼 건수는 지난 2000년 1천498건에서 2012년에는 7.7배가 급증가한 1만887건 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인 기간을 유지하는 평균기간은 3년2개월에 불과해 다문화가정의 해체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이혼 등으로 인해 해체된 다문화가족이 취업이나 자녀교육 등에 어려움을 겪으며 빈곤가정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은 만큼 현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다문화가족 범위를 부부중심으로 한정하지 말고 다양한 가족 유형을 포괄하는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단체 관계자는 “살다보면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을 간과하게 되고 이런 것들이 쌓여 결국 이혼에 이르는 것 같다”며 “농촌지역은 남편의 반대 등으로 결혼이민 여성들이 시·군에 소재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가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부는 물론 자녀와 시부모를 포함한 가족단위의 통합적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가까이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전국 200여곳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2천860명의 방문지도사가 한글교육과 상담을 하면서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예산 등이 뒷받침 될 경우 생애주기별 교육프로그램 등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