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306보충대 인근 상인들 “2~3년 유보해야” 국방부에 경제활성화 위해 향후 민간시설 허용 촉구
올해 말 해체될 예정인 의정부 306보충대 인근지역 상인들이 생계 대책을 세워달라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정부와 의정부시에 생계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정부 306보충대 해체를 2~3년 동안 유보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10일 의정부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송산1동사무소에서 의정부 306보충대 해체와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지역주민들은 “지난 1989년 이후 매주 화요일에 3천여명의 입영장병과 가족 등 1만여명이 의정부시를 방문하면서 연간 100억원 이상의 숙박, 식대, 교통비 등을 지출해 생계를 유지해 왔다”며 “306보충대가 해체되면 생계가 막막해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민들은 306보충대를 계속 존치시키든지 해체가 불가피하다면 피해가 예상되는 음식점, 이·미용 업소, 숙박업소 등이 생계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2~3년간 해체를 유예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주민들은 306보충대 해체 이후에는 지역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군사시설이 아닌 민간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주민들은 306보충대 주변은 지난 40여년간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이면서 재산권 제한은 물론 개발이 억제돼 갈수록 낙후돼 가고 있기 때문에 306보충대 해체 후 다시 군사시설이 들어오면 안 된다가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306보충대가 해체되면 인근지역 상인들이 가장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상인들이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국방부, 육군본부 등 관련 부서에 2~3년간 306보충대 해체 유예 등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의정부시의회도 지난달 24일 제230회 임시회에서 306보충대 해체시 심각한 지역경제 위축이 불가피하다며 군과 의정부시의 계획적인 대응 방안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의정부 306보충대는 지난 1952년 부산 동래에서 제2보충대 5보충 중대로 창설돼 1958년 의정부 호원동으로 옮겨졌다가 1989년 지금의 자리로 이전됐다. 의정부 306보충대에는 매년 8만여명이 매주 화요일 입소해 입영식과 함께 3박4일 동안 머물며 대기하다가 자대로 배치를 받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