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엔 지번주소… 선거인명부 확인 작업 지연 불보듯 주소 병기 필요성 지적… 안산선관위 “지속적인 홍보나서”
올해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는 도로명 주소로 인해 오는 6·4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이 혼란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동명인일 경우 본인 확인 등에서 혼선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선거인명부에 지번주소를 병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정부와 안산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100년 동안 지속되 온 지번주소 체계가 행정동과 법정동의 이원화 및 도시화로 인한 지번의 연속성 결여, 경로 및 위치안내의 기능저하 등에 대한 지번주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로명 주소를 도입, 올해부터 전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6월 실시되는 지방선거 선거인명부도 도로명 주소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선 행정현장에서는 오는 6·4 지방선거와 관련해 선거공보와 안내문, 거소 투표용지의 우송과 분류과정에서 부터 혼선이 빚어질 수 밖에 없을 것 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게다가 동명인의 경우 이름 및 생·년·월·일 등 만으로는 투표자의 식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민들이 소지하고 있는 신분증 대부분이 지번주소로 표기돼 있어 투표 당일 유권자가 투표소에서 도로명 주소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선거인명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지적이 일고 있다.
이같은 지적에 따라 오는 6월 지방선거 선거인명부에 지번주소를 함께 병기해 혼란을 줄여야 할 것이라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선관위 관계자는 “도로명 주소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부 계획을 세워 도로명 주소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투표자 신분증이 대부분 지번주소로 돼 있어 투표자 본인 확인이 더 어려울 수 있고 선거인명부에 도로명주소만 표기 될 경우 투표자들 또한 혼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