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활성화 명분 내세워 돌연 관광호텔업 허용키로 한강신도시 주민 거센 반발
김포시가 한강신도시 내 도시지원시설용지와 수변상업지구에 관광호텔을 허용치 않기로 했던 당초 방침을 깨고 돌연 관광호텔을 허가하자 신도시 입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17일 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강신도시연합회 등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시와 LH, 신도시 입주민 등은 수변상업지구에 관광호텔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3자 합의에 따라 시와 LH는 한강지구 개발계획변경(9차)과 실시계획변경(7차) 승인 때 수변상업지역은 물론 도시지원시설용지에 관광호텔 및 숙박시설 설치를 허용치 않키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제11차 개발계획변경까지도 관광호텔 및 숙박시설을 허용치 않는다는 방침은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시와 LH는 지난해 12월30일 12차 개발계획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을 마련하면서 신도시 활성화라는 명분을 내세워 돌연 관광호텔업을 허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월 수변상업지구 인근의 도시지원시설용지에 64실 규모의 W관광호텔의 건축허가를 내줘 내년 2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또 한강신도시 수변상업지구의 C6-3(1천91㎡), C6-4(808㎡) 등 2개 블록도 최근 호텔용도로 매각됐다.
이같은 상황을 뒤늦게 파악한 한강신도시연합회를 비롯한 신도시 입주민들은 “신도시 초입이자 아파트 바로 앞에 관광호텔을 가장한 모텔이 들어서 청소년들의 교육은 물론 신도시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키고 있다”며 주민들을 무시한 시의 숙박시설 허가에 격분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공사 중인 W관광호텔이 64실이라고는 하지만 관광진흥법에서 규정한 음식·운동·오락·휴양·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의 부대시설은 전혀 없으며 커피숍, 음식점, 프론트를 합쳐 80여평에 불과한 280㎡”라며 “관광호텔의 흉내만 낸 모텔”이라고 주장했다.
이병성 한강신도시연합회장은 “지금 공사 중인 호텔이나 최근 매각된 수변상업지구 규모를 보면 모텔로 전용될 가능성이 대단히 농후하다”며 “1차적으로 시에 오는 21일까지 대책을 내놓을 것을 집단민원으로 요구했고 합당한 대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단체행동을 벌여 반드시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신도시에 관광호텔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있었고 상업시설 토지매각 등 신도시 활성화에도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규모를 최소화 해 5필지만을 허용했다”며 “호텔이 주민들의 우려처럼 모텔로 변질되지 않도록 강력한 단속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