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왕수 양평군 기업인협의회장
“우리의 먹거리를 공급해주는 친환경 농업도 중요하지만, 농촌도 도회지와 다름 없이 모름지기 (꼭 굴뚝산업은 아니더라도) 농업과 관련된 기업들이 들어 와야 젊은이들도 늘고, 출산율도 높아지고, 그래야 지역도 삽니다.”
신왕수 양평군 기업인협의회장(57)이 지역사회에 던지는 화두다.
식품공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은 신 회장은 지역에 기업들이 많이 입주해야 하는 이유로 국내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인 삼성이 1년 동안 생산하는 GDP(국내총생산)이 320조원이고, 현대도 105조원인데 비해, 축산업과 임업까지 다 포함한 농업생산으로 인한 GDP는 46조원에 그치고 있는 점을 들었다.
그는 “양평의 경우 생산, 가공, 유통, 체험(관광) 등과 접목된 이른바 6차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 웨어 중심의 비굴뚝산업들도 입주할 수 있는 여건 조성으로 지역에 현금이 유통돼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내로라하는 농촌체험마을들도 들어서는 등 새로운 개념의 체류형ㆍ치유형 농촌관광산업이 싹을 틔우고 있다”며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양평 토박이로 24년 전에 창립된 양평군 기업인협의회의 좌장을 올해로 3년째 맡고 있는 신 회장은 지난 1996년 고향인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에 고려인삼연구(주)를 꾸려 20여년째 경영하고 있다.
이 기업은 인삼은 물론, 홍삼과 흑삼, 산삼배양근, 산양삼 등 인삼의 모든 제품들을 생산ㆍ수출하며 지난해 수출액이 300만달러이고, 올해는 35개국에 600만달러를 수출할 계획으로, 연말 무역의 날에 500만달러를 달성한 성과로 상도 받을 예정이다.
레미콘공장 몇곳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제조업체들이 없는 척박한 현실에서 견실한 중소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그는 그래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염원이 사뭇 크다.
이런 까닭으로 신 회장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재 50여곳에 그치고 있는 회원사를 인근 광주나 포천 등의 4천800여곳으로 늘려 독립적인 상공회의소를 창립하는 것이다.
그래야 법과 관련된 서비스는 여주, 세무는 남양주, 일반행정은 수원 등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지역 내 기업들의 고충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