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내가 선택할 후보는 이렇다

전국이 선거열기로 뜨겁다. 모이면 선거 이야기다. 우리나라는 대통령 중심제지만 의회제도가 있다. 최근에 와서는 지방의회까지도 풀뿌리 민주주의를 운영하고 있다. 오는 6월4일은 각 지자체의 단체장과 의원을 뽑는 날이다. 후보들은 우후죽순으로 난립하고 있다. 유권자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각 정당에서는 후보자의 공천문제를 놓고 상대를 압박하고, 같은 당내에서는 공천의 기준과 경선방법을 놓고 샅바 싸움을 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기초의원만큼은 정당공천을 배제하자는 공약을 하면서도 이행을 안 하고 있다. 정당공천을 하게 되면 후보들의 난립을 막을 수 있지만, 자질이 떨어지고 주민의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

필자는 기초의원만큼은 정당공천을 배제하여야 된다고 주장하고 싶다. 의회 민주주의에서는 국회의원을 비롯한 각 시도의원은 모두가 하나의 입법기관이다. 의원들은 국민들의 편에 서서 행정부를 견제하고 지시하며, 감독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의견도 발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권자들은 어떤 후보를 선택하여야 할까를 고민하게 된다.

필자는 이런 후보를 선택하고 싶다. 첫째, 도덕성이 충만 된 사람이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부패지수는 OECD국가 중 하위에 속한다. 그 부패의 주범들은 모두 정치ㆍ경제인들이다.

따라서 깨끗하고 도덕적인 품성의 인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둘째, 전문성의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해당업무에 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실국장의 이야기에 고개만을 끄덕인다면 시장의 시녀가 아닌가. 4년 내내에 발의 안건이 한 건도 없다면 문제가 있지 않는가.

때로는 대안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관계 법령이나 규정도 안내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판단력과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시군의원 만큼은 정당을 떠나 해당 지역구의 현안문제를 냉철하게 바라보는 판단력과 통찰력으로 정치역량이 있는 사람이어야 된다.

넷째, 논리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 기초의원은 주민의 대변자로서 지역문제에 대한 해결사이다. 주민과 시장과의 교량적인 역할을 하면서 양쪽을 설득 시킬 수 있는 협상과 조정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회의원은 정당정치를 표방하기에 정당을 선택하게 되지만 기초의원 만큼은 정당정책의 이념을 떠나 위와 같은 기준에서 선택하자고 주장하고 싶다. 유권자들의 선택 기준은 저마다 다르다.

각종 사회단체의 이익집단과 사조직, 종친회와 동문회, 지연과 학연, 심지어는 회사의 노조와 노인회까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것들이 우리 선거문화의 현주소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다. 유권자들의 냉엄한 판단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든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이세재 전 청북초등학교 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