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황후' 마지막회, 지창욱·진이한 죽고… 하지원 홀로 북원 건국

'기황후 마지막회' '기승냥 북원 건국'

MBC 월화드라마 '기황후'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 29일 방송된 '기황후' 마지막회에서는 '1368년 기황후는 주원장에게 대도를 정복당하고 북쪽초원지대로 물러나 북원(北元)을 건국했다. 기황후의 아들 아유시리다라는 북원의 황제가 되었다'라는 자막이 삽입되며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이날 방송에서는 반란군과의 전쟁에서 대승상 탈탈(진이한 분)이 대패했고, 기승냥(하지원 분)은 병을 앓는 타환(지창욱 분)에게 거짓으로 승리 사실을 알렸다. 여기서 원을 위협하는 반란군이 바로 홍건적이며, 이 홍건적을 이끈 주원장은 북경을 점령하고 명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북원'이란 당시 북쪽으로 밀린 원나라를 의미한다. 실제 역사를 보면 1368년 원나라 마지막 황제인 순제(극중 타환)는 북경(베이징)으로 주원장과 명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북경을 버리고 피신하던 중 응창(應昌)에서 숨을 거둔다. 그 뒤를 이은 기황후의 아들 태자 아유시리다(소종)은 북동쪽으로 피신해 북원을 건국한다.

이후 북원은 명장 쿠쿠티무르가 명나라의 공격을 잘 막아냈지만 쿠쿠티무르가 죽고 아유리시라다(소종)까지 죽은 뒤 쇠퇴했다. 특히 만주를 지키던 명장 나하추[納哈出]가 1387년 명나라에 항복한 것이 멸망의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실제 역사에서 주원장은 명나라의 초대 황제로 '홍건적의 난' 당시 원나라 수도를 함락, 원나라를 북쪽으로 밀어냈다.

 

기황후 마지막회 북원 건국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기황후 마지막회 북원 건국, 새드엔딩 슬프네", "역사적 현실이 참 안타깝다", "기황후 마지막회, 시청자 시선 의식했나보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