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 동 사건에 대해 책임 소재를 묻는다면 당연하게 우리 세대 모두의 탓으로 돌려야 한다. 우리가 우리 자식들을 죽였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특정세력을 지목하여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면 당연히 대한민국 국회가 1순위 대상이 되어야 한다.
왜 그런지 잠시 시간을 앞으로 돌려보자. 지난 해 말 발생했던 철도노조 파업 사건과 관련해서다. 철밥통의 대명사인 그들의 불법행위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천민정신을 뿌리 뽑을 수 있는 그야말로 절호의 기회였다.
그 당시 우리는 순간의 고통을 감수하더라도 철밥통의 무사안일, 극단적 이기주의는 더 이상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사회정의를 구현하고자 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 역시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일이 그리 진행되어가는 과정에 역시 대한민국 최고 철밥통인 국회가 흡사 가재는 게 편이라고 철도노조를 옹호하고 나서면서 절호의 기회를 망쳐버린다. 그리고 그런 썩은 사고가 결국 세월호 사건의 원인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와 관련 세월호 선장과 승무원들 그리고 철도노조를 옹호하고 나선 국회의원들을 비교해보자. 세밀하게 살필 것도 없다. 그저 흘낏 바라보아도 명칭과 성격만 다를 뿐이지 본질은 너무나 흡사하다.
최후까지 배와 운명을 함께해야 하는 선장이란 작자는 가장 먼저 배를 버리고 버젓이 살아 숨 쉬고 있고 그 밥에 그 나물이라고 다수의 승무원 역시 아이들의 생명을 헌신짝처럼 저버리고 저들의 알량한 목숨만 구했다.
대한민국 호를 끌고 가야 할 국회의원들에게 국가는커녕 국민도 없다. 오로지 관심 분야는 생색내기와 알량한 이권 챙기기가 전부다. 그러니 철도노조의 불법 행위까지 생색내기 수단으로 일삼았다.
지금 국회가 다시 생색내기에 나서려 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관련하여 여야가 합의하여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공동으로 제출하기로 했다는 내용으로 적반하장도 이 정도면 심각하다.
우리 사회, 국회와 같은 철밥통이 건재하는 한 제2, 제3의 세월호 참사는 멈추지 않는다. 아울러 지난 해 발생했던 철도노조 사건에 대한 대처 방식이 세월호 참사의 동인이 되었던 만큼 반드시 국회를 국정조사할 일이다.
황천우 소설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