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풀뿌리 지방자치를 이끌어갈 수장을 뽑는 6ㆍ4 지방선거가 막을 내렸다.
본격적인 6ㆍ4 지방선거가 시작된 지난달 23일부터 인천은 여·야로 갈림은 물론 학연, 지연 등 이해관계에 따라 지역사회가 양분돼 흑색선전과 비방으로 반목과 갈등의 14일을 보냈다.
이제 선거 열기를 식히고 후보자나 정당, 유권자 모두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가야 할 때다. 선거는 온 국민의 축제가 돼야 한다. 그러려면 누가 당선되었느냐보다 시민의 선택을 받아 당선된 이들이 지역을 위해 얼마나 열심히, 또 효율적으로 일을 하느냐가 풀뿌리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길이기 때문이다.
특히 시장, 교육감 당선자를 비롯한 군·구단체장 당선자들은 지금부터 지역 통합에 나서야 한다. 상대를 공격하던 상극·공멸의 정치를 접고 공생의 정치를 펼쳐 나가야 한다.
자신에게 표를 던지지 않은 유권자에게도 다가가 포용할 줄 아는 화합의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이것이 훗날 역사와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인천 발전의 모습을 남겨주는 일이기에 당선자에게 바란다.
인천은 제17회 아시아경기대회를 100여 일 앞두고 있다.
오는 9월 19일 열리는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는 40억 아시아인들의 축제로 45개 국가가 모두 참여하는 올림픽에 버금가는 중요한 국제스포츠 행사이다.
특히 북한이 전 종목에 참가를 선언하면서 인천AG가 경색된 남북 관계를 풀어가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2005년 인천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에 북한은 선수단과 함께 예술학교 학생 등으로 구성된 미녀 응원단을 파견했다.
뿐만아니라 어려운 여건 속에서 인천AG를 준비해온 인천시민들은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를 계기로 스포츠를 통한 남북화해와 협력이 현실화되기를 갈망하고 있으며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해 5도서 접경지역 주민은 물론 국민의 염원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당선인들에게 바라는 시민들의 요구는 무너져 가는 지역경제 활성화 요구에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장기불황에 세월호 참사가 가져온 골목경제의 붕괴는 많은 시민의 허리띠를 졸라 매게 하고 있다.
시민들이 참사로 인해 외식 등을 자제하는 탓도 있지만, 장기불황이 시민들의 지갑을 닫게 하고 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인천에는 부동산 경기침체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건설을 위한 망치 소리가 끊이질 않는 건설경기 활성화로 대한민국의 두 번째 도시인 부산시가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벤치마킹해 갈 정도로 호황을 누리던 때에 대한 시민들의 향수가 짙다.
하지만, 인천은 경기침체의 파도를 넘지 못하고 지역건설 경기는 땅바닥으로 곤두박질치며 장기불황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인천지역 경제계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현안 해소를 위해 각 정당에 정책제안서를 내놓으며 경기부양을 호소하고 있다.
인천지역 중소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폭등에다 금융기관들의 중소기업 대출회피는 물론 시가 지원한 경영안정자금마저 지난해 7천억원에서 올해 6천500억원으로 감소하는등 자금난을 겪는데다 대기업 선호와 제조업 기피 및 서비스업 선호 등의 인력난의 이중고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다행히 인천시장에 당선된 유정복 전 안행부장관이 제시한 인천 발전 모델은 장기침체에 빠진 인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유 전 장관의 인천시장 등극은 역대에 보기드믄 인천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 만큼 유 장관의 향후 행보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다.
김창수 인천본사 경제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