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16일 민·관 협력 방식의 복지동 업무 매뉴얼을 전국 지자체 최초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5월말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 대상 지역에 선정돼 국비 7천400만원을 확보하고 부천형 복지전달 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복지동 업무 매뉴얼을 제작했다.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은 국정 과제인 ‘국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 체계 구축’의 하나로 읍·면·동 복지기능을 강화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복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연말까지 실시하는 시범사업이다.
시가 이번에 제작한 복지동 업무 매뉴얼은 시·구·동 복지공무원과 방문 서비스기관, 복지관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60여명으로 구성된 TF팀을 12회 구성·운영하고 복지공무원, 대학교수 등 전문가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참여한 포럼(5회) 및 워크숍 등을 개최해 복지인프라 주체들이 맡은 바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했다.
매뉴얼의 주요 내용은 부천형 복지전달 체계의 비전과 목표, 복지동장, 통합사례관리사, 방문 간호사, 직업 상담사, 복지매니저 등 복지 주체별 역할 및 기술, 통합방문상담, 마더서비스, 직업상담 서비스, 효자손 서비스, 거점동 중심 통합사례관리, 이동 푸드뱅크·마켓, 자원봉사 등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부천형 복지동 업무 매뉴얼은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시도됐으며 기존 매뉴얼이 중앙이나 도의 지침(Top-Down) 방식이 아니라 민·관 상호 협조체계를 구축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며 “복지 수요가 많은 춘의동에 찾아가는 복지팀을 설치하고 복지동 업무 매뉴얼에 따라 거점동 중심 사례관리 강화와 고용·보건 연계를 통한 통합서비스 제공 등 부천형 복지전달 체계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