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잘못은 잡되 불신은 없게

이선호 문화부장 lshgo@kyeonggi.com
기자페이지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공공기관의 투명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기관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감사 등을 통해 문제점을 밝혀내고 기관이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감사가 다른 목적으로 움직이면 또 다른 부작용이 양산될 수밖에 없다.

요즘 경기도 산하 의료공공기관인 경기도의료원이 내부 갈등으로 시끄럽다. 의료원장과 노조의 갈등 등으로 서로 비난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경기도 감사실이 한달 넘도록 장기 감사에 들어가면서 기관에 대한 불신을 키우고 있다.

도 감사실은 수주째 경기도의료원에 대한 감사를 벌여 기관에 대한 각종 문제를 찾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부분이 감지된다. 감사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조사하고 있는 내용이 고스란히 언론 등에 흘러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통상 진행중인 감사 내용은 공표하지 않는다. 감사가 끝난 다음에 감사에서 드러난 문제와 조치 사항까지 정리한 다음에 공개되기 마련이다. 도 감사관실에서는 자신들이 흘린 내용이 아니라고 단언하지만, 어딘가 묘한 냄새를 풍긴다.

제기된 의혹들이 사실인지 여부도 판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감사 내용이 무차별 공표되면서 해당 공공기관은 비리집단이라는 이야기까지 들을 정도로 수모를 겪고 있다. 가뜩이나 경영상태가 부실하니, 적자를 낸다고 비판을 받고 있는 경기도의료원은 더 타격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흘러나온 의혹도 민감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원장의 아들이 무료 진료를 받았다거나 지인이 노숙자 지원 명목의 공공의료사업지원금으로 치료를 받았다는 등 개인 또는 기관에 치명적인 내용으로 분명한 사실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명확한 사실확인보다는 의혹제기쪽에만 분위기가 쏠리고 있다.

이런 상황을 놓고 특별감사에 의심의 눈초리가 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지방선거 이후 도지사가 바뀐 시점에서 산하기관 ‘물갈이용’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비단 경기도의료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묘한 시점에 도 산하 기관장에 대한 부정적 의혹이 언론에 보도되거나 회자됐고, 이어 해당 산하 기관장은 사표를 내는 경우도 확인됐다. 물론 임기를 마치거나 임박한 경우도 있어 지나친 음모론이라고 말할 수 도 있지만 시점이 이상하게 맞아떨어진다.

지방의료원 문제는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문제의식을 갖고 있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해결책이나 모범 답안을 제시한 곳은 없는 듯하다. 적자에 시달리며 노조 갈등 등으로 진주의료원은 폐쇄됐고 속초의료원도 최근 직장폐쇄하는 극단의 상황을 맞았다.

이렇게 되면 결국 피해는 주민들이 당할 수밖에 없다.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소외 계층들이 불편을 겪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공기관도 이제 돈을 벌어야 하는 시대다. 그러나 상업성에 매몰돼 공익성을 저버린다면 공공기관의 존재가치가 없어진다. 아예 문을 닫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특히 경기도의료원 같은 공공의료기관은 소외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 등 공익성이 더욱 강조돼야 한다.

의료원 내부 갈등이나 문제는 명백히 해결해야 할 사안이다. 의료원 조직원 갈등 등에 대해서는 시스템부터 하나하나 짚고 넘어가야 하는 등 풀어야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조직 내부 자신들의 갈등으로 도민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 것은 정말 용납해서는 안된다. 경기도 역시 의료원 잘못은 바로잡되, 또 다른 의혹은 없게 공정하게 해야한다.

이선호 문화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