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안정된 병영생활은 정서순화가 먼저다

군 복무를 마치고 온 대다수의 뇌리에서 맴도는 것은 기합 받고 이유 없이 구타당한 일일 것이다. 아직도 그런 병폐가 잔존한다니 군대 보낼 자손을 둔 우리네 마음을 서글프게 한다. 군인도 인격자이다. 그들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일은 치명타이다.

윤 일병의 집단 폭행 사망 사건, 총기난사 사건. 병사의 자살 사건, 수치스런 희롱 등 이런 군대생활과 끔찍한 사건을 지켜보는 국민들은 할 말을 잃는다.

남아대장부라면 신성한 국방의무를 다해야 떳떳한 사회인이 되는데 이런 군대를 가지 않으려는 풍조를 자초하고 있는 국방 당국의 지휘 라인을 책하지 않을 수 없다.

가혹행위와 막말 희롱의 파문은 인격의 살인행위며 천부적 인권의 침해이다. 군대는 명령에 죽고사는 특수성이 있으나 사병들 간에 명령할 게 뭐 있으며 정당한 명령에 불복종할 군인은 거의 없다. 소위 그들이 말하는 대로 군기를 잡겠다고 괜한 사람 구타 희롱이 자행되고 있다면 당연히 시정 개선되어야한다.

형제같이 가족같이 동고동락하며 지내야할 처지에 이런 유치한 일을 자행하는 병사는 비겁하다.

지금이 어느 때라고 밥그릇을 따지며 인격을 모독할 수 있는가 귀한 생명에 무차별 손을 대는가? 속된 말로 군기가 빠지면 안 되지만 따뜻한 말, 위로의 말 부드러운 말은 군대에서도 지켜야 하는 인간의 도리이다. 군 사기진작의 길이다. 이게 선진국의 군대문화이다.

아마 지금도 이런 구타행위가 각 군 도처에 도사리고 있을 지도 모른다.

국방장관이 서둘러 관군민으로 구성된 병영생활문화혁신위원회를 발족시켰다니 문서상의 혁신계획안만 내놓을게 아니라 신병 훈련과정부터 자대 근무 내무생활에 이르기까지 안전한 생활, 아늑한 생활, 부모님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정된 군대생활이 되기까지 지휘체계를 확립하리라 본다. 그래야 징병제하에서 병역기피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잇단 군대내 사건 사고를 두고 박 대통령은 “이래서 어찌 부모님이 안심하고 자식을 군대에 보낼 수 있는가 군대의 사기가 진작될 수 있는가 -가해자 방조자 책임관계자를 일벌백계하라”고 엄명하였으며 군인의 전인적 인성교육을 강조하였다.”

병영문화 개선법과 벌칙 군 사법개혁도 필요하지만 지금의 군인들은 고학력 지성인으로 이성과 양심이 있다. 마음만 잘 먹는다면 병사 각자가 인격자답게 살겠다는 다짐만 있으면 된다. 그래서 병사들에게 정훈교육 인성교육 정서순화의 다짐과 자정운동이 먼저이다.

참모총장의 뜻대로 사건을 일으킨 부대는 해체하겠다는 극약처방에 앞서 한번쯤 양심에 호소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 같다.

미국 군인들이 아군과 상대편이 얼싸 안고 즐거운 나의 집-home sweet home을 부르며 눈물 흐렸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1943년 유대인의 피아니스트 알리스 헤르츠는 나치 수용소 수감 중에도 피아노를 연주하며 마음을 달랬다고 한다.

일회성 인권교육으로는 부족하다. 지속적인 전인교육 정서교육 건전한 정서생활은 안정된 병영생활을 이끄는 동력이 된다고 본다.

차제에 서로의 장래를 걱정해 주는 건전한 정서순화를 토대로 안정된 군대생활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이게 곧 안보요 평화통일로 가는 부국강병의 지름길이다.

오범세 전 인천청천초등학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