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들여 조성할 땐 언제고? 市, 2009년 시범가동 후 스톱 “재정난 때문에” 궁색한 변명
6일 오전 11시께 용인의 유일한 전통시장인 용인중앙시장 입구 술막다리 인근에 세워진 분수대.
사람이 몰리는 시장 입구임에도 물이 뿜어져 나오질 않았다. 유심히 아래쪽을 살펴보니 한참을 가동하지 않은 듯 낙엽과 쓰레기가 잔뜩 쌓여 있었다. 주변도 빈 막걸리통과 쓰레기가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 밤새 노숙인들이 이곳에서 술판을 벌였는지 막걸리 냄새가 코를 찔렀다.
인근에 설치된 또다른 분수대도 상황은 마찬가지. 언제 가동이 중단됐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주변에 녹이 슬어있는 등 관리상태가 엉망이었다.
시장상인 최모씨(60)는 “아까운 시민 혈세를 들여 시장주변 하천변 곳곳에 분수대를 번듯하게 세우더니 아예 사용을 하지 않고 있다”며 “용인시의 전형적인 탁상행정과 예산낭비를 보여주는 게 바로 저 분수대”라고 말하며 혀를 끌끌 찼다.
용인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설치한 금학천변 5곳의 분수대가 전기료와 수도료 등의 문제로 수년간 가동되지 않아 예산낭비에 불과한 전시행정이란 지적이다.
시는 지난 2007년 1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총 사업비 225억원을 들여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삼가동까지 이어지는 3.65㎞구간의 금학천 정비사업을 실시했다.
시는 이 구간에 수해예방을 위한 정비사업과 함께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습지 등을 조성하고 시민들의 휴식을 위한 공원과 주차시설 등을 설치했다. 특히 시는 지난 2009년 금학천 주변에 5개의 분수대를 설치했다. 분수대 설치에만 약 3억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그러나 분수대가 설치된 2009년 몇달간만 시범 가동된 이후, 2010년부터 약 4년간 분수대는 멈춰섰다. 전기료와 수도료 등 유지비 부담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분수대를 설치하자마자 정부에서 물과 전기 등을 절약하라고 지침이 내려온 데 이어 현재는 시 재정악화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