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잔류, 동두천 또 버림받았다” 민·관 대정부 투쟁 선포

배신감 ‘성난 민심’

동두천 캠프 케이시 미군 기지의 잔류결정에 동두천시와 시의회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가 미2사단 정문봉쇄 등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언(본보 27일자 1면)한 가운데 시의원들의 1인 시위에 이어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가 궐기투쟁에 나서는 등 범시민적 반발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24일 한미간 미 보병 제2사단(210화력여단) 동두천 잔류가 최종 결정된 이후 29일 동두천시의 모든 거리는 성난 시민·사회단체들의 현수막으로 뒤덮였다.

총 300여개가 넘는 현수막에는 △미군기지 잔류 절대반대 △더이상 못참겠다 △죽어가는 동두천을 살려내라 등 일방적 미군잔류를 결정한 정부를 규탄하고 미군기지 전부이전 약속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언론을 통해 사태의 심각성을 실감한 시민들 역시 “정부가 해도 너무한다”는 울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동두천시의회 의원들은 이날 오전 7시부터 미2사단 정문에서 일방적 미군잔류 결정에 대한 철회를 촉구하는 1인 릴레이 시위에 들어갔다.

시의회는 또 지난 28일부터 시작한 궐기투쟁 참여 호소문 배부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장영미 의장은 “이제는 10만 시민의 강력한 힘을 정부에 보여줄 때”라며 “미군 잔류를 온몸으로 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 또한 다음달 5일 미2사단 정문 앞에서 미군주둔 반대 및 동두천 지원 촉구 범시민 궐기대회를 시작으로 청와대·국방부 정문 앞 상경 투쟁에 나설 예정이다.

한종갑 위원장은 “미2사단 정문 봉쇄 등 극단적인 방법까지 총동원할 방침”이라며 시민들의 협조와 참여를 호소했다.

미군반환공여지 개발계획에 주력했던 동두천시 역시 “정부에 뒤통수를 맞았다”는 분위기 속에 범시민투쟁에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다양한 채널을 통해 오세창 시장의 국방부장관 면담을 요청하는 한편 실과소장 및 각동 실무담당자 연석회의를 통한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한편 국방부는 지난 28일 오 시장과의 전화통화에서 일방적 미군잔류 결정에 대해 유감의 뜻을 전달했으며 정보라인을 통해 동두천시의 요구사항을 파악했던 것으로 전해져 귀추가 주목된다.

동두천=송진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