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박현기 1942-2000’ 展 학창시절 메모·임종 전 스케치까지 3천여점 공개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에 영향받아 인상적인 작품을 남긴 미디어 아티스트 박현기를 재조명하는 전시가 열린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과천관에서 오는 27일 박현기의 작품과 아카이브 등 3천여 점을 선보이는 특별전 <박현기 1942-2000> 을 연다. 박현기>
이번 전시는 지난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이 기증받은 작품 2만여 점을 2년여의 정리 작업 끝에 공개하는 자리다.
대표작부터 학창 시절에 쓴 메모, 2000년 임종 전에 남긴 스케치까지 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하는 자료도 많아 관심이 뜨겁다.
박현기는 1970년대 대구현대미술제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해 1990년대 국내에 비디오 아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는 우연히 백남준의 작품인
그를 대표하는 작품은 1978년에 선보인 <비디오 돌탑> 이다. 그는 진짜 돌 사이에 돌을 화면에 띄운 TV를 놓고, 어떤 게 진짜 돌인지 물었다. 비디오>
이 작품으로 박현기는 세계 무대에 초청돼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임종 전인 1990년대 후반에는 <만다라> 시리즈, <현현> 시리즈 등을 통해 정적인 부분과 동적인 것, 전통과 문명 등의 가치를 비교하고 조화로운 공존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현> 만다라>
에로틱한 영상을 50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배치한 <만다라> 는 작품명에서 드러낸 전통적 가치와 비디오라는 현대의 가치를 결합시켜 ‘조화’를 말했다. 만다라>
<현현> 시리즈는 잔잔한 연못 영상을 사각 돌판에 비춰 한폭의 산수화 같은 정적인 가치와 동적인 느낌을 한데 묶었다. 현현>
이번 전시는 이 작품들을 모두 만나며 그가 시도했던 ‘대립되는 극단의 조화’라는 작품 세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는 “백남준이 세계적인 아티스트인 건 자명하지만 국내 활동은 1980년대였다. 하지만 박현기는 이미 1970년대부터 국내 위주로 작품활동을 한 토종 미디어 아티스트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그가 말하고자 한 조화라는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5월25일까지 이어진다.
신지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