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신길온천 임대주택 결국 좌초… 후폭풍 예고

10년여 표류끝에 LH 부지매입 포기… 해당 부지 ‘쓰레기 산더미’
주민 그동안 고스란히 피해… 市 “보상 불가피” 대책 요구 방침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안산시 신길온천지구 일대를 ‘국민임대주택단지예정지구’로 승인받은 뒤 재정난 등을 이유로 10년째 사업 추진을 미뤄오다 사업 자체를 포기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가 사업을 미루는 동안 각종 쓰레기 투기 등으로 인해 주민들이 피해를 봤다며 대책을 요구할 예정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 시와 LH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98년 단원구 신길동 신길온천지구 63블록 7만410여㎥ 부지를 수자원으로부터 매입한 뒤 2006년 건교부로부터 ‘안산신길온천국민임대주택건설사업’ 지구 승인을 받았다.

이후 시는 근린생활시설인 미매각 대상지를 제외한 나머지 4만2천200여㎥에 대해 같은해 11월 국토부와 경기도로부터 각각 ‘국민임대주택건설’ 사업부지로 승인받았고 LH는 이를 매입, 임대주택건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시는 총 사업비 1천457억원(용지 451억, 조성비 119억, 건물공사비 837억, 기타 50억 등)의 사업비를 들여 총 991호의 주택을 신축, 이 가운데 737호를 국민임대하고 나머지 254호는 공공분양을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LH는 재정난과 사업성 등을 이유로 해당 부지의 매입(지난해 공시지가 기준 437억원)을 미루면서 지난 2009년 4월부터 지난해까지 4차례 걸쳐 사업연장을 요구했다. 또 LH는 최근 관계기관 회의에서 사업계획 포기 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이 LH가 임대주택건설사업 부지 매입을 미루다 뒤늦게 포기방침까지 밝히는 사이 이곳에는 각종 생활쓰레기가 버려졌고 시는 매각 추진 난항에 따른 행정 차질과 더불어 쓰레기를 수거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LH 측에 피해를 감수해 온 주민들을 위해 보상차원의 대책을 요구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LH가 이제 와서 사업 추진을 포기하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그동안 주민들이 감수한 피해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도서관 등 지역인센티브를 요구하는 동시에 시 자체적으로 용역을 통해 활용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인근 온천개발에 따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을 뿐 아니라 지가 상승으로 인한 사업성에 문제가 있는 상태”라며 “아직 사업 포기와 관련해 확정된 것은 없으며, 나머지 문제는 시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