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지역경제 발전의 버팀목, 상공회의소

세계 최초의 상공회의소는 1599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창설했다. 가입이 자유롭지 못하고 폐쇄적이었던 중세시대 상공업조직 ‘길드’에 대항하고자 근대 기업가들이 자유·개방을 목적으로 자생적으로 만든 조직이 상공회의소이다.

우리나라에서 상공회의소가 전래된 것은 1884년 고종 21년의 ‘화성상업회의소’가 효시이다. 이후 1905년 경성상업회의소를 거쳐 1946년 창립된 ‘조선상공회의소’ 및 ‘경성상공회의소’가 1948년 ‘대한상공회의소’와 ‘서울상공회의소’로 정식 명칭을 변경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우리 인천은 1880년대 외세의 압력에 의해 개항된 이후, 조선에 진출한 일본을 비롯한 외국상인들에 대항해 민족상인들이 민족 상권을 옹호하고자 1885년 인천객주회란 상인단체를 설립하였고, 이것이 인천상공회의소의 모태이다.

일제 침탈 이후 상공회의소는 일본인 상공회의소와 강제 통합 당하는 아픔도 겪지만, 광복 이후 재건되어, 1952년 상공회의소법(법률 274호)이 제정되면서 공법인으로서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런 역사적 전통을 가진 상공회의소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상공회의소의 설립 기반과 취지가 반영된 것으로, 철저하게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국가경제와 세계경제를 바라보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 전국 71개 도시에 상공회의소가 설립되어 운영되는 것이 이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공회의소 사업은 광범위하다. 지역경제나 기업경영에 관한 모든 사안이 상공회의소 사업이다. 사업상 사소한 애로에서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기업규제 해소까지 상공회의소는 기업과 관련 있는 모든 사업을 하고 있다.

특히 단일기업이 결코 할 수 없는 사업이라도 상공회의소는 지역 전체 기업을 대신하여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인천상공회의소는 구한말 민족 상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펼친 활동을 시작으로, 경제개발기의 수많은 지역경제 정책들에 일임을 담당해 왔다.

인천 내항 건설, 경인선 전철화, 부평·주안·남동공단 조성, 경인고속도로 개통 등에 인천시 및 정부와 협력하여 원활한 여건 조성에 힘써 실현을 앞당기는 데 기여했다.

최근에는 지역에 공장부지 부족으로 인천을 떠나는 기업 방지와 지역 제조업 부활을 위해 강화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데에서 보듯이 상공회의소는 개별기업의 이익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서라면 어떤 어려움이라도 감수하고 있다.

다른 경제 관련 협회 단체와는 다르게 상공회의소는 대·중소기업, 업종 등에 관계없이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 모두를 회원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어떤 이해의 치우침 없이 가장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업현장의 목소리를 솔직하게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어느 일방의 편향적인 발전이 아니라 지역 경제의 균형적인 발전, 상공인, 시민 모두가 공생하고 함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상공회의소의 궁극적인 역할이다.

상공회의소는 130년이라는 유구한 역사를 통해 지역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앞으로도 혁신적 사고와 불굴의 정신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헌신할 것이다. 상공회의소 발전이 곧 지역경제의 발전이다. 시민들과 지역경제인들 모두가 상공회의소 사업과 활동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

정병일 인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