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남양주시 규탄 집회
남양주시가 양정동 일대 상업·주거·연구시설 등을 조성하는 양정역세권복합단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지역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양정동 주민들로 구성된 양정역세권개발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성기)는 26일 오전 남양주시청 앞 인도에서 “주민을 무시하고 서강대 유치에만 급급한 개발을 반대한다”며 남양주시 규탄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사업의 마스터 플랜을 입수해 살펴본 결과 시는 주민의 재산(서강대 부지 값)을 헐값에 매입하고, 서강대에는 원형지가의 절반 가격으로 지급, 개발이익금 600억원을 지급하기로 하는 등 말도 안되는 특혜를 주고 있다”며 “주민 혈세로 서강대 건축비를 지원하는 개발은 절대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양정역세권 개발 확정 뉴스가 쏟아지고 있는데 정작 지역 주민에게는 (사업 진행과정에 대해)아무것도 알려주지 않는 깜깜이식 개발로 주민들을 쫓아내고 있다”며 “원주민이 떠나지 않도록 대안방법을 세우겠다는 약속도, 양정동 400여 토지주와 의논도 없이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기 위원장은 “아무 대책없이 주민들은 어디로 가라는 것인지 모르겠다. 주민 재정착 없는 개발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대안 마련과 면담 등 주민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면, 서강대 총학생회와 연계한 사업 전면 백지화 운동과 집회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 입장에선 명분 없는 집회로 보고 있다. 지적보상가는 이미 정해진 것이지 본인들이 왈가왈부할 사항이 아니다”며, 면담 거절에 대해선 “근본적으로 사업을 반대하는 세력과 무슨 대화가 통하겠느냐”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서강대 개발이익금 지급 등에 대한 사항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 낮은 가격에 부지를 제공하는 것은 유치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주민들의 특혜 주장에 선을 그었다.
한편 남양주 양정역세권복합단지는 양정동 일대 176만2천㎡에 상업·주거·연구시설 등이 들어서는 대규모 사업으로 단지 내에는 중앙선 복선전철이 관통한다.
1만2천가구가 건립돼 3만명 이상이 거주할 것으로 예상되며 서강대 캠퍼스도 조성된다.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양정동 일대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안을 의결한 바 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