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사르습지 “NO” vs “OK”… 김포 정치권 ‘내홍’

市·국회의원·전류리 주민 등 “또다른 규제 우려” 반대여론
“청정지역 국제공인 긍정효과” 일부 시의원들 ‘수용론’ 주장

환경부의 김포·고양·파주시 일원 한강하구의 람사르습지 등록을 놓고 각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의 입장차로 찬반 논란(본보 2014년 11월11일자 7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포지역 정치권이 논란에 가세하면서 지역현안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5일 김포시와 김포시의회, 홍철호 국회의원, 하성면 전류리 주민 등에 따르면 환경부가 한강하구의 람사르습지 등록에 앞서 지역 의견수렴을 위해 지난해부터 각 지자체 및 지역주민과 잇따라 간담회를 갖고 있지만 고양시 ‘찬성’, 김포·파주시 ‘반대’ 양상은 변함이 없다.

김포시도 군사시설보호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습지보호구역 등의 규제로 70여년간 재산권행사 등 피해를 보고 있는데다 높은 퇴적층으로 이미 강의 기능을 잃은 한강하구의 복원이 우선돼야 한다는 어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환경부에 공식 반대입장을 전달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월 정하영 시의원이 시의회 5분발언에서 “김포를 평화생태도시로 새롭게 디자인하는 계기를 마련키 위해 람사르 등록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지역정치권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정왕룡 시의원도 최근 SNS계정을 통해 “람사르습지 등록은 하나의 상징행위로 이에 수반되는 추가규제는 없으며 반면에 청정지역으로 국제적 공인을 얻는 효과는 기대 이상”이라며 “자기주관을 갖고 주민들에게 객관적 사실을 제시해야 할 김포시의 애매한 태도를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찬성쪽에 힘을 실었다.

이같이 시의회와 김포시 및 지역주민간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자 홍철호 국회의원(새)은 지난달 29일 군 협조를 받아 시의원, 언론인, 지역주민 등과 함께 어선을 타고 석탄리~후평리 일대 한강하구 습지탐사에 나섰다.

탐사결과에 대해 홍 의원은 “겨울철새 도래지는 아니며 습지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태로, 환경부와 관계기관, 단체들이 깊은 협의를 거쳐 결과를 도출해내야 할 것 같다”며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정하영 시의원은 자신의 SNS계정에 홍 의원의 판단은 근거가 불충분하다며 환경부, 김포시, 선출직 의원, 지역주민, 환경단체 등이 참여하는 대토론회를 제안했다. 정 의원은 “람사르습지 등록을 둘러싸고 근거없는 소문만 난무하고 있어 이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어 대토론회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에 환경부측은 “한강하구의 람사르습지 등록은 국제사회에 우리의 우수한 습지보유를 홍보하고 내세우는 것이지, 어떠한 규제도 없으며 치수사업은 물론 어로행위도 가능하다”고 반박해 대토론회 성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