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검색·어학공부 40%는 운전 중 딴짓

통화중 사고·돌발상황 대처 미흡

국내 운전자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운전중 SNS를 사용하고 있어 안전사고 위험성에 노출돼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같은 사실은 9일 교통안전공단이 수도권과 경상권 운전자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중복응답)해 발표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유형 및 사용이 운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 밝혀졌다.

조사 결과 운전자 중 약 42%가 운전 중 SNS 또는 교통정보를 이용하고 있었다. 응답자 중 26.1%는 인터넷 검색, 20.6%는 음악감상 또는 어학공부, 14.8%는 TV나 유튜브 등 영상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5명중 1명(21.3%)이 교통사고가 발생했거나 그와 유사한 위험상황을 경험했으며 당시 음성통화중이었던 경우가 50.4%로 가장 많았고 40.9%가 SNS 사용, 16.5%가 인터넷 검색 중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는 공단 교통안전교육센터에서 자동차 운전자 24명이 참여해 자유주행과 SNS사용, 인터넷 검색 상황을 재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더불어 진행된 돌발상황 회피 실험(시속 50㎞)에서는 자유주행 시 83.3%가 성공한 반면 SNS사용과 인터넷 검색 시에는 각각 45.8%와 50%만이 성공했다.

특히 돌발상황에 대한 운전자 반응시간은 자유주행 조건에서 0.545초인데 비해 SNS사용과 인터넷 검색 조건에서는 각각 0.605초와 0.614초로 측정됐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