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80% 조선족 파악 치료목적으로 방문도 많아 비자 발급 단계부터 관리해야
최근 안산시를 방문하는 외국인들 중 결핵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특히 자국에서의 비싼 의료비 탓에 치료를 목적으로 안산시를 방문하는 경우도 많아 비자 발급 당시부터 정부 차원의 철저한 예방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13일 시 등에 따르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단원구의 경우 지난 2011년 48명이던 외국인 결핵환자가 2012년 56명, 2013년 98명에서 지난해 176명으로 급증했다. 상록구 역시 같은 기간 동안 254명에서 278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내국인 역시 335명에서 496명으로 늘었다.
이런 가운데 외국인 결핵환자의 80%가량이 조선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들 중 70~80%는 자국에서 결핵에 감염됐으나 비싼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해 치료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인 것으로 보건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외국인이라도 건강보험에 가입했을 경우 일반결핵환자는 내국인과 같이 치료시 본인부담금을 전체 진료비의 5%만 받고 있으며,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100% 본인부담이지만 국립결핵원에 입원하게 되면 내국인과 동일하게 하루 1천800원, 월 5만4천원만 부담하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보건당국은 다양한 결핵치료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 다제내성치료(자이복스 연간 2천400만원) 환자의 경우 2주 가량 치료를 한 뒤 결핵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전염성이 없으면 출국 명령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장기체류 외국인의 경우 비자발급 당시 결핵검사를 의무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결핵검진 대상도 현재 3종(비전문취업, 선원, 방문취업)에서 유학 및 어학연수를 추가해 5종으로 확대하자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외국인 유관기관 등과 연계해 외국인 결핵이동검진을 확대하고 학교 내 기숙사 입소생(외국인 포함) 검진을 시행하는 동시에 출입국관리사무소(안산출장소)와 연계한 외국인 결핵환자 추적관리 시스템 구축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내국인 보호와 치료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인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비자발급 단계에서부터 철저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