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들 “선체 인양 약속하라”… 안산 합동추모식 취소

당정 고위인사 조문 거부 특별법 시행령 폐기 등 촉구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16일 안산 정부합동분향소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합동추모식이 전격 취소됐다.

유가족은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에 대해 반발해 합동추모식을 취소했고 정부?여당 관계자들은 정부합동분향소 조문을 거부당했다.

유경근 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께 합동추모식을 취소했다고 밝히며 “(유가족 요구에 대해)정부가 현재까지 어떠한 답도 주지 않았다”며 “팽목항을 방문한 대통령의 담화내용 전문을 받아봤는데 하나마나 한이야기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시행령안을 폐기하고 온전한 선체 인양을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열릴 예정이던 세월호 참사 1주년 합동추모식에는 희생자 가족과 종교계 대표, 시민·사회단체, 학생 등 5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다만 4·16 가족협의회는 합동추모식은 취소하지만, 분향소를 찾는 조문객들은 계속 받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4·16가족협의회는 정부의 세월호 인양과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폐기 선언이 없으면 합동추모식을 연기하겠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었다.

합동추모식을 준비했던 안산시도 “유가족의 추모식 철회 방침에 따르겠다”며 “오늘 마련한 야외무대는 모두 철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앞서 오전 10시에는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세월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산시민대책위가 기자회견을 갖고 ‘세월호 참사 1년, 지금도 국가는 없다!’고 주장하며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즉각 폐기 등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이완구 국무총리와 김무성 대표, 남경필 경기지사 등을 비롯한 정부·여당 관계자들은 유가족의 항의로 잇따라 조문을 하지 못하고 되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유가족이 이들이 탄 차량 앞을 막아서는 등 한동안 소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야당지도부는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수정과 선체인양을 약속한 뒤 조문을 마쳤다.

구재원?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