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공원화·도로→주차장 추진 주민들 반발 부딪쳐 포기 잇따라 사전 검토없이 무리한 진행 물의
안산시가 충분한 검토 없이 광장을 공원화하거나 도로를 주차장화하는 사업을 추진하다 인근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쳐 사업 자체를 포기하거나 원점에서 재검토 하는 사례가 잇따라 행정의 신뢰성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26일 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대형 차량의 주차난을 해소하겠다며 지난 2월16일부터 3월초까지 상록구 사동 1639 번지 갈대습지공원 입구와 연결되 미사용 도로를 유료주차장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 유료주차장은 5차선 가운데 3개 차선에 신설한 것으로 폭 23m에 면적 2만7천500㎡ 규모이며 지난달 9일부터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운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체육공원으로 사용하던 도로가 없어지고 아파트 인근에 대형차량의 주차장이 들어설 경우 주변이 우범지대로 변모하고 대형 차량들의 이동에 따른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다며 반발하자 시는 주차장 신설 계획을 전면 취소했다.
이에앞서 시는 지난해 7월 16억3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지하철 4호선 한대앞역 광장을 공원부지로 용도변경 한 뒤 오는 8월 27일까지 재정비 사업을 완료해 전철 이용객 뿐 아니라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추진했다.
하지만 광장 인근 상인들이 공사로 인한 영업손실 등을 우려하며 반발 움직임을 보이자 사업 추진을 보류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시가 사전에 충분한 검토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다 중단하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행정의 신뢰성을 떨어트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구단위 계획 변경을 위해 용역을 발주, 전체적으로 관련사업들을 검토를 하고 있다”면서도 “해당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도 무시할 수 없는게 현실”이라고 애둘러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