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집값 문제 등 반발 市·주민, 경과지 변경 요구 한전은 수용불가 입장 고수 4월부터 착공 못한채 표류
한국전력의 수도권서부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수직구) 부천구간 공사가 주민 반대와 부천시의 허가취소로 공사 재개가 미궁 속을 헤매고 있다.
한전은 현재 신부평변전소가 과부하 상태로 전기공급시설이 신속히 건설되지 않을 경우 부천지역은 제한 송전 등 급박한 상황이 발생, 공사재개가 시급하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지중 송전선로(지하 40~50m)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각종 암 질환이 발생하고 집값 하락 등을 이유로 경과지 변경을 요구하며 반대하고 있다.
28일 부천시와 한국전력 경인건설처 등에 따르면 전력구 사업은 인천시에서 생산된 전력을 부천, 인천, 서울 서부지역까지 공급하는 지중 선로를 설치하는 것으로 5천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지난해 6월부터 오는 2017년 7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현재 서울, 인천지역 수직구 5개소는 정상적으로 공사중에 있으며 이 구간의 터널 수직구는 9개소다.
이중 부천은 4개소(총 길이 23.4㎞, 원미구 3, 소사구 1)다. 원미구는 상동신도시 대림아파트 113동 앞 시민의 강 인근과 중동신도시 꿈빛도서관 주차장, 부천소방서 뒤 한마음공원이며, 소사구는 철로 옆인 역곡동 유일한로 가로공원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월 초 중동 한마음공원 내 수직구 굴착공사를 진행하자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발생, 시가 점유허가 취소처분 및 공사 중지명령을 내렸다. 대림아파트 앞과 꿈빛도서관 주차장의 수직구 공사도 주민 반발로 착공을 못한 채 표류중이다.
이에 한전 측은 법원에 공사중지집행정지가처분 및 허가취소 소송을 제기해 지난 7월 중순 법원이 사업의 시급성을 인정, 집행정지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시가 이에 불복 항고한 상태다.
한전 측은 주민들의 합당한 요구ㆍ불편사항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해소 및 수용한다는 방침이지만, 경과지 변경 등 불합리한 내용은 변경지역 주민들의 추가 집단반발이 예상돼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한전 측은 “송전탑 건설과정에서 가장 극심한 갈등과 대립을 겪고 있는 밀양, 새만금, 당진 지역은 오히려 가공송전선로를 지중화해 달라는 요청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신도시, 서울 등 대도시 지하에 수천㎞의 송전설로가 매설돼 있지만 전자파로 인한 각종 암 발생 및 지가 하락에 전혀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는 “시민의 의견에 반하는 기존 노선을 한전 측이 고집할 경우 점용허가 및 공사재개를 불허한다”고 맞섰다.
부천=최대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