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주민대피시설 긴급점검 '현장과 실제운영 극명한 차이'

북한의 연천지역 포격도발과 군 확성기 포격위협속에 국무총리 특별지시에 따라 접경지역의 주민대피시설에 대한 긴급 점검이 실시됐으나 현장상황과 실제운영은 극명하 차이를 드러냈다.

국민안전처와 경기도는 24일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치, 운영하고 있는 김포시 18개 주민대피시설중 하성면 석탄5리, 월곶면 보구곶리 등 2개 대피시설을에 대해 긴급점검을 실시했다.

점검결과 대피시설에 보관중인 의약품은 턱없이 부족했고 비상급수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주민들이 음용을 꺼려 생수공급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실제 대피시설의 방송장비, 비상조명등, 비상발전기 등 각종 시설물을 마을이장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하지만 마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대피시설내에 비치된 50×70㎝ 규격의 의약품함에는 극히 소량의 의약품만이 들어있었으며, 방독면은 석탄5리는 수용인원(188명)의 80%, 수용인원이 224명인 보구곶리는 50여개밖에 확보하고 있지 않았다.

점검을 마친 국민안전처 김영복 사무관은 “수용인원에 비해 의약품 부족과 방독면 비치, 생수공급, 시설물 작동능력 등에서 일부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부족한 비품은 예산을 확보해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언제든지 각종 시설물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교육 등 보완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대피시설을 운영하는 김포시 입장은 확연히 달랐다.

의약품 등 각종 비품은 상시 현장 비치할 시 분실되는 경우가 많아 별도로 보관, 상황 발생시 즉시 공급하고 있었다. 이번 북한 포격도발 상황에서도 시는 최초 상황이 발생한 20일 주민대피와 동시에 대피소에 생수 2천600개, 라면 114개, 선풍기 6대, 살충제 8개, 각종 약품을 즉각 공급했다.

확성기 타격 최후통첩이 있었던 22일에도 응급구호세트 183세트, 취사구호세트 71세트 등을 필요시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상차 대기상태로 확보해놓은 상태다.

방독면은 수용인원만큼 대피소에 비치할 경우 대피공간이 협소해져 2천여개를 별도시설에 보관, 비상상황 발생시 각 대피소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피시설의 수용인원도 실제와 큰 차이를 보였다. 월곶면 용강리와 보구곶리, 조강리 대피소는 주민등록상 주민수에 따라 각각 259, 224, 188명 등 모두 671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지었지만, 이번 상황에서 실제 대피인원은 22, 42, 28명 등 92명에 불과했다. 현지에 거주하지 않거나 대피하지 않은 주민들이 상당수에 이르는 실정이다.

주민대피시설에 대한 인식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현재 접경지역 대부분의 대피시설은 단기대피시설로 실제 북의 포격이

이루어졌을때 일시적으로 대피했다가 포격이 중지되면 즉각 후방으로 이송하는 형태의 대피시설이다. 따라서 24시간 이상씩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 상황에서는 주민들을 오랜시간동안 대피시키면서 생활에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으며 견디지 못한 주민은 집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초래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약품과 방독면 등 대부분의 비품은 분실을 대비해서 별도 보관후 상황발생시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주민대피시설은 북한포격시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시설로 갖춰진 단기대피시설이어서 장시간 대피할 경우 불편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