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예산 부족·홍수 위험” VS 이동면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은 희망하는데 신청조차 안해”… 市 “검토할 시간 필요”
관상어 생산·유통단지를 유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관상어 생산·유통영어협동조합원들과 이동면 주민들의 희망과 달리 용인시가 공모에 신청조차 하지 않아 협회원들과 주민들이 허탈해하고 있다.
6일 관상어조합과 이동면 주민 등에 따르면 관상어 사업은 박근혜 정부 100대 추진 사항이며, 해양수산부 10대 수출전략품목으로 지정돼 있다.
정부는 농어업인의 소득증대와 국민의 여가생활 향상을 위해 지난해 관상어 관련 법률을 제정하는 등 관상어 생산부터 유통, 전시홍보 및 교육시설 등을 갖춘 관상어 생산·유통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경기도는 정부의 이같은 계획에 따라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세차례에 걸쳐 단지 사업 공모 신청을 받았다.
이에 ㈔관상어협회(조합구성 전)와 이동면 지역 시의원, 주민들은 지난 4월부터 이동저수지 일대에 단지가 유치될 수 있도록 시에 공모 신청을 요구했다.
도내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지리 등 여건상 단지 이동저수지 일대 만한 곳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협회 회원 60여명은 지난 5월 관상어 생산·유통영어협동조합을 설립하고 관내 은행에 자부담금 28억여원을 예치하기도 했다.
조합원들은 이동저수지 주변인 처인구 이동면 송전리 440번지 15만여㎡부지를 관상어 단지로 조성, 관상어를 전시하는 아쿠아리움부터 관상어 생산 및 판매시설이 들어설 경우, 지역 경제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단지 조성 예산도 향후 5년간 국비와 시·도비가 각각 30%씩, 협회 자부담 40% 등 총 150억원이 들어갈 예정이지만, 건축비와 부지매입비가 협회 자부담인 만큼 행정적 부담도 적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시는 정찬민 시장의 추진사항에도 없는데다 예산 부담, 저수지 일대가 홍수위험 지역인 홍수위 부지라는 점 등을 들어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낙후된 이동저수지 일대를 발전시키고 주변 자연경관을 이용해 고부가가치 친환경 농어업인 관상어 단지를 용인이 유치해야 마땅하다”며 “시는 관상어 단지를 서로 유치하려는 다른 지자체들과 달리 오히려 조합과 주민들이 나서서 유치를 희망하는데도 신청조차 안 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아직 시에서는 사업 타당성 조사 등 아무런 정책 결정을 하지 못한 단계”라며 “관상어 단지에 대해 검토할 여력이 없으며,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관상어 산업은 정부의 대규모 투자사업인 동시에 지역 특화사업으로 단지가 지정되면 해당 지자체에 축제 및 전시회 개최 지원비와 각종 지원금 등 수십억원이 지원된다.
용인=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