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태 평택 토미타코리아 대표
인생의 ‘동반자’라는 말은 언제 들어도 든든하다. 인간의 한계에 극복하는 마라톤에서 동반자 역할을 하는 ‘가이드 러너’(Guide Runner)는 정신적 멘티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평택시에도 시각장애인 마라토너의 가이드 러너로 활동하는 기업 대표가 있다.
‘평소’라는 닉네임의 주인공, 김선태 토미타코리아(주) 대표이사는 ‘평소에 잘하자는 좌우명과 평택서 사는 소띠’(1961년)를 줄인 별명이 퍽 마음에 든다고. 마라톤 코스를 함께 뛸 뿐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자립과 제2의 삶을 찾아주는 데도 열심인 김 대표.
마라톤을 시작하게 된 데는 15여 년 간 근무한 직장생활을 접고, 지난 1997년 신물질 연구·개발자를 만나 벤처기업을 설립·운영했으나 IMF 직격탄을 맞아 힘든 시기를 보냈던 아픔이 녹아있었다.
당시 신제품 개발엔 성공했지만, 매각과 더불어 상용화 실패로 공장과 연구소가 경매로 넘어가고, 채권자들의 독촉전화로 매일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홀로 산에 올라 스트레스를 풀었다. 이후 다시 일어나야겠다는 용기 하나로 부채 덩어리였던 지금의 토미타코리아를 인수해 회사를 회생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바로 그때 김 대표는 건강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았다고. 몸이 건강해야 비로소 가정과 회사를 지키고 사회에 봉사할 수 있다는 진리를 깨친 그는 틈틈이 산행을 즐기던 중 우연찮은 기회에 미리내 환경마라톤대회 10㎞ 코스에 첫 출전 하면서 마라톤과 인연을 맺었다.
이어 몽골 고비 225km 울트라마라톤 대회에 참가해 능력을 검증받았다. 그동안 풀코스·(21회·최고기록 3:38:29)산악마라톤(7회)·울트라마라톤(21회)에 출전하는 등 그만의 이정표를 세우는 중이다. 체력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강인한 정신력을 위해 용기를 불어넣는 가이드 러너는 행복을 더해주는 숨은 진주와도 같다라는 김 대표.
“앞을 못 보지만 달리고 싶은 시각장애인들이 의외로 많은데 가이드러너 봉사자(해피레그)가 턱없이 부족한 상태”라며 “더 많은 시각장애인이 세상 밖으로 도전장을 내밀 수 있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평택=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