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막장 드라마도 없습니다”
광명시의회 전현직 의원들이 국내외 연수중 도박을 벌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무더기로 경찰에 입건되자 불신의 수준을 넘어 존립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제7대 광명시의회는 지난해 7월1일 취임과 함께 시민들의 민생과 지역현안에 대한 고민은 커녕 의장단 자리다툼, 도박행위로 인한 자진사퇴, 외유성 해외연수, 성매매 및 유사성행위 의혹, 동료시의원 신체 부위 촬영 등으로 도덕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런 부끄러운 모습만 보여온 의회가 어떻게 주민을 대표하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지방의원의 본연의 임무는 행정의 견제와 감시다. 하지만 작금의 광명시의원들은 자리싸움으로 정쟁과 파행의 반의회주의 모습을 보여주며 자신의 생활을 위한 생계형 정치를 해왔다. 그래서 지역사회에서는 기초의원 폐지론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방의원이 죽어야 지방의회가 산다는 역설까지 하고 있다.
작금의 사태를 지켜보며 지역주민이 준 소중한 기회, 노력으로 보답해야 할 주민 대표들이 본분을 망각한 채 스스로 책무를 포기하고 있는 것에 더 이상 동정과 이해는 필요없다. 또한 이들에게 자질론이나 비판적인 의견을 개진하는 것도 소모적이다. 그래서 의회 간판을 내리던지 스스로 용퇴를 하라는 압박이 가해지고 있는 것이다.
유권자인 광명주민은 더 이상 지방의원의 봉이 될 수 없다. 그동안 시민들은 광명시의원이 밥그릇 싸움을 하면서 시의 현안들을 발목 잡힌 채 공전을 해도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왔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풀뿌리 정치’의 근간이 되어야 할 시의회가 이런 한심한 모습으로 일관하는 한, 시민들은 조금은 불편하고 피해가 있을지라도 시의회를 외면할 수밖에 없다. 어쩌면 이번이 마지막 경고일 수도 있다. 정치적 명분이나 욕망보다는 주민을 위한 실질적이고 우선될 수 있는 진정한 지방자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루빨리 광명시의회가 재편되길 기대해 본다.
광명=김병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