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월드컵경기장 광고영업권 논란 재단, 구단에 ‘공개토론회’ 제안

“갑질 아닌 정당한 자산관리”
구단 “기자회견, 사실과 달라”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이하 재단)이 프로축구 수원 삼성(이하 수원)과 수원월드컵경기장 내 광고영업권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본보 11월4일 자 20면) 수원 측에 공개 토론회를 제안했다.

 

한규택 재단 사무총장은 5일 수원월드컵경기장 대연회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기관으로서 사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들이 일방적으로 전파되며 마치 재단이 ‘갑의 횡포’를 부리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있다”며 “과연 우리가 ‘갑질’을 하는 것인지, 정당한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것인지를 밝히려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이어 “수원 구단이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을 부인해서는 안된다. 이번 계기를 통해 상생방안을 모색하고 발전 방안을 찾아야한다”며 “이런 문제가 나온 만큼 서포터스,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함께 문제를 논의하고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수원 구단에 공개토론회를 제안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재단이 전방위적인 광고영업 행위로 프로구단의 수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장 2층 난간 광고판은 2003년 수원 구단이 제작해 사용한 뒤 2004년 관리재단에 기부 체납해 지금까지 사용했다”며 “2004년부터 10여년 동안 3~4차례에 걸쳐 수원 구단에 모든 광고 사용권을 일괄적으로 맡아달라고 의사를 전달했지만 광고 효과와 수익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종 치킨 업체 광고를 추가 유치했다는 지적에는 “해당 업종의 경우 재단이 2011년부터 광고를 수주했고, 올해 치킨 업체의 광고도 재단이 보름 먼저 유치했다. 다만 광고 유치 업종을 수원 구단에 사전에 정보 공개를 했어야 했는데 그 점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지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수원 구단 관계자는 “재단이 기자회견을 통해 밝힌 내용은 상당 부분이 사실과 다르다”며 “이번 사안은 구단과 재단이 풀어야할 문제지, 제3자를 포함시킨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자는 것은 해결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원만한 사태 해결을 위해 대화로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