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활력·시민행복·미래산업 ‘방점’
인천시는 내년 예산 편성을 ‘도시 활력을 높이는 투자’에 집중했다.
시는 인천의 역사성과 문화가치를 극대화하고자 계양산성 박물관 건립에 36억 원, 문학산 편의시설 확충에 20억 원을 투입하고 시민 누구나 생활 속에서 문화·체육·예술을 접할 수 있게 하는 문화예술특성화 사업에도 48억 원, 청학 복합문화센터 건립에 25억 원을 편성했다.
침체한 원도심 복원을 위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과 원도심 주차환경 및 생활문화센터 지원 등에 900억 원을 투입한다. 이중 인천 중구 내항 일대를 재생하는 개항창조도시 사업도 청신호가 들어왔다.
시는 내년도 예산에 62억 원을 반영했다. 국토교통부 공모사업 최종 발표를 기다려야 하지만 선정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또 섬 관광 콘텐츠 발굴 55억 원, 강화 갯벌 생태계 복원 16억 원 등 섬 관광을 활성화하는 데 607억 원을 쓸 예정이다.
시민의 행복을 위해 장애인과 노인 지원사업 예산도 늘렸다. 시는 저소득 장애인과 중증장애인 자활·자립 사업에 1천436억 원, 어르신 빈곤 완화 사업에 5천3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인천의 미래 투자에도 예산을 적극 반영했다. 인천 중심의 교통축을 형성하는 도로건설에 625억 원, 철도 3천16억 원, 대중교통 체계 구축 3천477억 원 등 모두 7천118억 원을 투입한다. 로봇랜드 조성 298억 원과 자동차 부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4억 원, 뷰티산업 육성 6억 원, 인-차이나 프로젝트 사업 25억 원 등 8대 전략산업 육성에도 매진한다.
이와 함께 청년고용 절벽 해소와 일자리 창출 확대사업을 위해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사업에 35억 원을, 청년 인턴십·창업보육센터 운영에 11억 원을 각각 편성했다. 한편, 시는 이번 예산안을 법정기한인 오는 11일까지 인천시의회에 제출해 심의를 받을 예정이다.
신동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