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화합의 유지 남기고… 민주화 큰 산 영원히 잠들다

김영삼 前 대통령 서울 현충원에 안장

국회로 향하는 운구행렬 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운구행렬이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을 지나 영결식이 엄수되는 국회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겨울을 앞당기는 ‘서설(瑞雪)’이 내리는 가운데 민주화 운동과 개혁의 상징인 ‘거산(巨山)’ 김영삼 전 대통령이 26일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엄수된 국가장 영결식을 마지막으로 영면에 들어갔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치뤄진 이날 국가장은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오후 2시부터 1시간20분 동안 진행됐다.

 

부인 손명순 여사와 차남 현철씨 등 유가족, 이명박 전 대통령 내외와 고 노무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 정부측 장례위원 2천222명과 주한 외교사절, 각계 대표와 시민 등 7천여명이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과로와 고열 등 심한 감기 증세로 영결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하지만 앞서 서울대병원 빈소를 다시 찾아 김 전 대통령의 영정을 배웅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영결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와 묵념, 고인의 약력 보고에 이어 장례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의 조사와 김수한 전 국회의장의 추도사 낭독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황 총리는 조사에서 “김 전 대통령은 평생 우리나라 민주화를 위해 헌신했다”면서 “대도무문(大道無門)의 정치 철학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국민과 더불어 민주화의 길을 걸었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어 “김 전 대통령이 염원한 평화롭고 자유롭고 번영하는 나라를 만드는 게 오늘 우리가 해야 할 몫”이라며 “이념과 종교,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어 통합의 나라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수한 전 의장은 추도사에서 “민주주의와 민권을 위해 모든 것을 남김없이 바치신 희생과 헌신의 삶을 사셨다”면서 “거짓과 위계, 음해와 사술을 배격하고 한결같이 ‘대도무문’의 정도를 걸어온 김영삼 대통령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장은 “사람을 중히 여겼던 대통령님을 모시고 정치역정을 함께 해온 많은 후배 동지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이 나라의 정치를 바로세우고 님께서 염원하셨던 상생과 통합, 화해와 통일의 그날을 반드시 실현해낼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영결식은 이어 기독교·불교·천주교·원불교 순으로 종교의식이 진행된 뒤 생전의 모습을 담은 추모 영상이 상영됐으며 차남 김현철씨는 영상을 보며 고개를 숙이고 오열하기도 했다. 헌화·분향, 추모공연, 3군 통합조총대의 조총 발사와 조약 연주로 영결식이 마무리되며 9선 의원 출신의 의회주의자였던 김 전 대통령의 ‘마지막 등원’이 막을 내렸다.

 

영결식을 마친 운구 행렬은 김 전 대통령이 46년간 살았던 상도동 사저와 내년 완공을 앞둔 ‘김영삼 기념도서관’을 거쳐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했으며 유족과 조문객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된 안장식을 끝으로 영원한 안식에 들어갔다.

 

강해인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