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경우 기존 도시내 건물 및 시설은 보수 및 관리소홀, 슬럼화 등의 문제로 마을공동체도 깨지고 도시기능도 잃어 왔다. 즉, 쇠락해 가는 도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회·경제적으로 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다시 정비하는 것을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개발은 도시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도시공간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기 때문에 필요하다.
도시는 도시화 과정과 도시의 사회·경제적 활동의 변화에 따라 성장하고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는 주택, 기반시설, 생활편익시설의 부족, 환경오염과 자연환경의 훼손 등 열악한 도시환경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도시문제는 결국 새로운 도시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도시재생은 여러 가지 이유로 쇠퇴한 지역이라 판단되는 도시에서 삶의 질 개선 및 활성화이다. 주거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주민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고 노후 불량한 건축물을 개 보수함으로써 경제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개별 주택에서 있어서 물리적 시설의 불량화나 노후화를 방치해 두면 주변의 다른 주택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지역의 주거환경 전체를 악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장실, 창호, 지붕 등을 리모델링 하는 경기도 맟춤형 복지마을 지원사업으로 수원, 성남, 평택 등 3개시의 주거취약계층 93세대의 주택을 개·보수 해 도(道)민들이 조금 더 편리하게 생활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었다.
2016년에도 필자는 동료들과 더불어 도민들이 도시라는 울타리에서 따뜻하고 복된 마을공동체와 함께 행복한 삶터, 일터를 만들어 가는데 힘을 실어 더욱 활성화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최광식 경기도시공사 도시재생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