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일 “앞으로 우리 정부는 대화의 문을 닫지는 않을 것이지만,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이지 않고 변화를 거부하는 한 우리와 국제사회의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거행된 제97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통일은 3ㆍ1정신을 이 시대에 구현하는 가치”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앞으로 더욱 확고한 안보태세와 국제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이 반드시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갈 것”이라며 “이제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 측에 대화의 여지를 주되 북한이 사실상 대화할 의지가 없는 현 상황에서는 북한을 압박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 박 대통령은 “무모한 도발을 일삼는 북한을 그대로 놔둔다면 5차, 6차 핵실험을 계속할 것이고 북한의 핵은 결국 우리 민족의 생존은 물론 동북아 안정과 세계평화를 실질적으로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평화와 번영, 자유의 물결이 넘치는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어 갈 것이며, 그것이 바로 3·1 운동 정신의 승화라고 굳게 믿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서 함께 동참해주실 것이라 믿는다”며 “정치권에서도 지금의 정쟁에서 벗어나 호시탐탐 도발을 시도하고 있는 북한과 테러에 노출되어 있는 국민을 지키고 대한민국을 지키는데 나서 주실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대내외적인 어려움과 테러 위협에 국민 생명과 안전이 노출된 상태에서 국회가 마비되어 있다”며 “이건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합의 문제와 관련, “일본 정부도 역사의 과오를 잊지 말고 이번 합의의 취지와 정신을 온전히 실천으로 옮겨서 미래 세대에 교훈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면서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서로 손을 잡고 한·일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이번 합의는 피해자 할머니가 한 분이라도 더 살아 계실 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집중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였다”라면서 “앞으로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한 분 한 분의 명예를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