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경제활성화에 방점… 對日 메시지는 축소

朴 대통령 3·1절 기념사 
“국회 거의 마비… 직무유기” 쟁점법안 처리 다시 촉구

▲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97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북핵 문제에 대해 연설하며 주먹을 쥔 채 강한 어조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의 올해 31절 기념사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대북 메시지 비중을 크게 늘리고 구조개혁 의지를 담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한 것이 특징이다.

반면 대일본 메시지는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많이 축소했으며 구조개혁을 통한 집권 4년차 성과를 내기 어렵다며 정치권의 협조를 촉구했다.

 

■ 북한 비핵화 거부하면 계속 압박

박 대통령은 이날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앞으로 우리 정부는 대화의 문을 닫지는 않을 것이지만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이지 않고 변화를 거부하는 한 우리와 국제사회의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화와 압박 강온전략을 동시에 구사하는 기존 대북정책 기조의 큰 틀은 유지하지만 당분간 압박 쪽에 더 방점을 찍을 것임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박 대통령은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200자 원고지 기준 9매 정도를 할애했다. 내용 역시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과 경제ㆍ민간 교류 확대 의지 등을 주로 담은 데 비해 올해는 압박과 변화, 평화통일 등이 주를 이뤘다. 이제 선택은 ‘북한의 몫’이란 대목은 대북 메시지의 핵심이다.

 

■ 위안부 합의 실천·올바른 역사인식 촉구

역대 대통령의 31절 기념사가 일본의 올바른 역사인식 촉구를 중심에 둬왔다는 점에서 보면 올해 기념사는 이 부분에서 상당히 파격적인 변화가 관찰된다. 일단 분량 자체도 원고지 2매에 불과하다.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이루어지기 전인 지난해 기념사에선 대일본 메시지가 5.3매에 달했다.

박 대통령은 양국 간 합의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일본 정부도 역사의 과오를 잊지 말고 이번 합의의 취지와 정신을 온전히 실천으로 옮겨서 미래 세대에 교훈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불가역적’ 합의의 성립은 일본의 향후 실천에 좌우된다는 점도 분명히 밝혔다. 박 대통령은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서로 손을 잡고 한일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 구조개혁 통한 경제활성화 의지

줄어든 일본 관련 내용은 경제활성화 의지로 채웠다. 구조개혁의 필요성과 정치권의 협조를 당부하는 내용이 북핵문제와 비슷한 분량을 차지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여건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나서 ‘우리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개혁을 해야만 한다’고 진단했다. 박 대통령은 어떤 정치적 고난이 있어도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4대 구조개혁을 반드시 성공적으로 완수해 우리 경제의 튼튼한 기초를 확고히 다져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노동개혁과 서비스산업 육성이 일자리창출과 경제체질 개선에 필수라고 설명하며 그러나 아직도 기득권과 정치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토로했다. 국회에 관련 법 통과를 촉구하면서 박 대통령은 지금 대내외적인 어려움과 테러위험에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이 노출돼 있는 상황에서 국회가 거의 마비되어 있다.

이것은 직무유기이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테러방지법 처리를 다시 한 번 촉구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