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대곶면 거물대리, 초원지리 등 환경피해지역의 토양오염조사의 교차분석 결과를 놓고 김포시와 주민 간 갈등을 빚는 가운데 최근 환경단체가 국립환경과학원에 의뢰해 재조사한 결과 13개 샘플에서 모두 구리, 비소, 납, 아연 등 5~6개의 중금속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인하대 산학협력단 역학조사팀(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조사결과와 상당 부분 일치하는 반면 시가 교차분석을 의뢰했던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조사 결과와는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환경정의는 4일 시와 역학조사 기관 사이에서 논란이 됐던 토양오염조사 결과를 재검증하고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우원식 의원에게 요청, 환경역학조사에서 사용된 똑같은 샘플을 국립환경과학원에 제공해 재분석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전체 15개 토양 샘플 중 분석 가능한 13개 샘플을 재분석한 결과, 모든 토양 샘플에서 구리, 비소, 납, 아연 등 각각 5~6개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특히, 시가 교차분석을 의뢰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어떤 중금속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했던 12개 샘플에서도 모두 구리, 비소, 납, 아연 등 5~6개의 중금속이 나왔다.
이에 따라 토양오염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이를 방증하듯 시는 환경정의의 주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시로서는 민간이 서로 주고받아 조사한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며 “이 같은 논란을 명확하게 검증하고자 지난 2월 공고를 통해 3개 토양오염 공인인증분석기관을 선정하고 또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검증위원회를 구성, 시료채취부터 조사결과까지 모든 과정을 공개적으로 처리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환경정의 관계자는 “인하대 산업협력단이 의뢰한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모든 시료를 보관하고 있지만, 시가 의뢰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분석에 사용한 모든 시료를 폐기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며 “시는 이번 국립환경과학원의 재분석 결과를 인정하고 모든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토양샘플의 채취와 전달, 분석과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3일 에코센터 세미나실에서 10명의 검증위원과 3개 토양오염 공인인증분석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거물대리 일대 토양오염도 재검사 착수보고회를 갖고 본격 검증에 들어갔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