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화 ‘자연과 나눔’ 회장, 자연의 참모습 알리는 ‘엄마 생태교육 지도자’

“아이들이 자연에서 소통하며 생각하고, 무엇인가를 배워 간다고 생각하면 정말 마음이 뿌듯합니다.”

 

‘자연과 나눔’(회장 박인화·51)은 어린이에게 자연의 참모습을 알려주는 엄마들의 모임이다. ‘자연과 나눔’은 아이들이 좀 더 신나고, 좀 더 즐거운 마음으로 자연 생태계를 알아갈 수 있도록 하자는 마음에서 출발한 엄마들의 모임으로, 지난 2007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을 중심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박 회장은 “처음에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지역 내 학생을 대상으로 노적봉과 함께하는 생태교육이나 나눔장터, 화분텃밭 만들기, 자전거 무상수리 등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이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해보겠다고 모인 엄마들은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 혼의 말살을 위해 산 정상에 쇠말뚝을 박고 가사미산이라 불렀던 ‘노적봉(해발 143m)’에서 아이들을 상대로 역사 및 생태교육에 나섰다.

먼저 성포동 마을 소개와 노적봉의 명칭 및 유래를 그리고 노적봉에서 자라는 각종 풀과 풀이 지닌 의미와 노적봉 곳곳에서 피고 지는 꽃을 찾아 노적봉의 생태지도를 만들었다. 이는 곧 아이들을 상대로 한 현장 생태교육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생태교육에 참여하는 6~7명의 엄마는 매년 생태교육 자료(메모, 사진 등)를 보관하고 있다.

 

이같은 엄마들의 생태계 교육 활동이 지역사회를 통해 조금씩 알려지자 지금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초등학교, 보건소 등 다양한 곳에서 교육상담 신청이 쇄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교육에 참여하는 아이들과 학생들도 늘었다.

 

엄마 교사들은 “아이들이 숲 속에서 마음을 열고 소통하는 게 너무 좋다. 비록 도움의 손길이 없어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준비해야 하지만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어 매력을 느낀다”고 말한다. 특히 지난 2014년에는 그동안 엄마들이 노적봉에서 아이들을 위해 정성을 들였던 그동안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은 ‘노적봉에 홀리다’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환경-지역사회-학교-노적봉이라는 틀에서 엄마들은 스스로 생태현장 학습지도자가 되기로 했다. 이는 엄마가 알아야 아이들을 자연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고 ‘자연과 나눔’ 엄마 학습지도자들은 강조한다.

 

오늘도 엄마들은 아이들에게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자연에 다가가는 방법을 깨우쳐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가 좋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노적봉이 있는 한, 어디로 이사 가지 않는 한 계속해서 아이들과 함께하고 싶다”고 말하는 엄마 학습지도자들의 모습에서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그대로 전해진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