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2018년 ‘입석 제로’… 내년 7월 버스준공영제 시동”

南 지사, 굿모닝버스 실현 계획 발표
30개 거점간 급행노선 신설… 내달 김포서 시범 운행
2층버스 20%까지 늘리고 좌석예약 서비스도 추진
도의회 야당 “절차상 하자… 연정 아닌 불통의 극치”

제목 없음-1.jpg
▲ 남경필 경기지사가 28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내년 7월부터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우선 도입하고 일반버스는 시ㆍ군과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왼쪽 사진) 이 발표에 대해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의원들이 성급한 추진이라며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경기도가 수도권 출퇴근 광역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2018년까지 광역버스 입석률 제로화(0%)에 도전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28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14년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 이후, 경기도가 300여 대의 버스를 증차했지만 여전히 다수의 도민들은 서서 출·퇴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문제해결을 위해 노선조정과 신설, 버스 증차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남경필 지사는 2018년까지 광역버스를 이용해 수도권 지역으로 출퇴근 하는 모든 경기도민들이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앉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굿모닝버스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남 지사는 ▲전체 광역버스의 20%를 2층 버스로 확대 ▲기다리지 않고 바로 앉아서 버스를 탈 수 있는 좌석예약 서비스 실시 ▲정류장을 최소화하는 광역버스 노선 30개 신설 ▲광역버스 운전자에 대한 1일 2교대제 실시 등을 검토 중으로 조만간 구체적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는 전체 광역버스(2천83대)의 20%(423대)를 2층버스로 확충하기로 하고 올해 28대를 운행하고 내년 200대, 오는 2018년 195대를 도입ㆍ운영하기로 했다. 도는 2층버스 1대당 구매 가격이 4억5천만원으로 일선 시ㆍ군과 국비 등을 1/3씩 나눠 부담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도는 거점 간 급행노선 운영을 위해 오는 2018년까지 30개 노선을 신설하기로 했다. 

도는 다음달 김포에 시범노선을 운행할 예정이며 올해 수원, 용인, 오산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2017년 7월부터 버스 준공영제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도는 노선계획권을 확보하고 노선개선, 장시간 근로형태 개선(격일제ㆍ1일2교대제 도입), 운행률 증대하는 등 광역버스 준공영제도 일선 시ㆍ군, 버스업체 등과 협의해 도입할 계획이다. 

경기도가 추진하는 준공영제는 수익금 공동 관리형 준공영제로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도가 보장해 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버스증차 등 관리 권한을 행사하는 방식이다. 이밖에 도는 광역버스 서비스 혁신을 위해 전차량 Wi-Fi서비스와 좌석예약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시·도 간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특성상 더 이상 개별 시ㆍ군이 노선을 계획하고 관리하기가 어려워졌다”면서 “준공영제는 도민들의 출퇴근 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이다. 2018년까지 광역버스 입석률을 0%로 만들어 도민들의 편안한 출퇴근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더민주ㆍ국민의당 소속 의원은 남 지사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해 ‘절차도, 협의도 무시한 성급한 추진’이라며 반발했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더민주ㆍ국민의당 의원들은 이날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발표는 절차상 하자가 있는 성급한 추진”이라며 “우선 발표부터 하고 나중에 시ㆍ군과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다. 이는 그간 남 지사가 강조해온 시ㆍ군과의 연정과도 맞지 않는 불통의 극치”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경기도는 전체 사업비 900억 원 중 50%를 시군에 부담시킨다는 계획이지만 이와 관련 31개 시ㆍ군 모두를 대상으로 협의한 적이 없는 것은 물론 몇몇 시ㆍ군은 경기도 광역버스준공영제 시행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원재ㆍ박준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