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위공직자 프로필] 이진찬 고양부시장 外

이진찬 고양부시장 

창의력 넘치는 행정의 달인

1966년생. 노스다코타주립대 전자상거래 석사.

 

기술고시 31회. 농림식품수산부 출신으로 뛰어난 업무 능력으로 경기도에서도 두각.  스마트한 행정과 창의력 있는 행정은 경기도 공직사회에서 손꼽힌다는 평.

 

안성부시장, 도 문화체육관광국장, 시흥부시장 등 역임.

 

김진흥 성남부시장 

경험, 정책 조정 능력 ‘으뜸’

행정고시 33회 합격 후 1990년 4월 공직 입문.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국무조정실 행정심의관, 화성부시장, 고양부시장 등 역임.

 

중앙정부 주요 부처를 경험하며 쌓은 정책 조정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 1959년생으로 서울시립대 행정학박사.

 

한연희 평택부시장 

지역경제 발전·일자리 창출 대표주자

1983년 공직에 입문. 경기일자리센터장, 일자리정책과장, 가평부군수 등을 역임.

 

도청 내 손 꼽히는 일자리 창출 정책통으로 평택시 지역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적임자라는 평. 직원들과의 소통 능력도 매우 뛰어나.

 

1959년생. 경기대 행정학 석사.

 

류호열 시흥부시장

탁월한 판단력… 직원들 두터운 신망

1979년 9급 공채시험에 합격해 공직을 시작.

 

북부청 기획예산담당관, 국토교통부교통안전복지과장, 경기도 교육협력국장 등을 역임.

 

소탈한 성격으로 조직 내 부하 직원들의 신망이 두텁고 판단력이 뛰어나 업무 추진력도 손꼽혀. 1959년생. 경희대 지역사회개발학 석사.

오현숙 양주부시장

카리스마 자랑하는 道대표 여성 공무원

복지여성실장 부임 6개월만에 부단체장으로 발탁.

 

경기도를 대표하는 여성 공무원 중 한 명으로 탁월한 카리스마와 업무 처리능력을 자랑.

 

1959년생으로 경기대 행정학 박사과정을 마쳤으며 도 교육정책과장, 여성가족과장, 북부청 복지여성실장 등을 역임.

민천식 포천부시장 

경험 풍부 경제활성화 이끌 적임자

1958년생. 연세대 정보산업 도시공학박사.

 

경기도 건설본부 건축시설과장, 도시주택과장 등을 역임. 도시건축분야 대표 공무원으로 각종 개발 사업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이뤄야하는 포천시에 적합한 인물이라는 평.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 관리 능력도 뛰어나.

강희진 가평부군수

도정 사상 첫 예산 연정 성공신화

다양한 실무부서를 거쳐 풍부한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업무 추진 능력이 뛰어나며 예산담당관으로 도정 사상 첫 예산 연정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는 평.

1960년 평택 출생으로 규제개혁추진단장, 기업지원과장, 북부청 특별사법경찰단 등을 역임.

이화순 의회사무처장

여성 공무원 출신 첫 도의회 사무처장

여성 공무원 출신으로 첫 경기도의회사무처장 부임.

 

기술고시 23회로 초대 도시주택실장으로 재직하며 광교신도시 및 뉴타운 사업의 기반을 다졌다는 평. 

성남시 수정구청장, 의왕부시장, 국토부 건축정책관, 기획조정실장, 화성 부시장 역임.

박정란 균형발전기획실장 

현장 중심 보건의료 정책통

비고시 기술직 출신 여성 공무원 중 최초 균형발전기획실장 기록.

 

보건직 출신으로 시흥시 보건소장 재직시 현장 중심의 보건의료 정책을 선보이며 전국 보건교육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차지.

 

1958년생으로 경희대에서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장애인시설 담당, 경기도 식품안전과장, 여성가족국장 등을 역임.

박신환 경제실장

강한 추진력 치밀한 일처리 정평

일자리정책관ㆍ비전기획관, 정책기획관 등을 역임하면서 치밀한 업무 능력을 인정받은 기획통이면서도 문화ㆍ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 냄새 나는 공무원’으로 평가. 

부드러운 심성을 가졌으면서도 업무에 있어서는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면서 상ㆍ하급자들로부터 잡음없는 일 처리로 정평. 행시 37회, 1962년생.

 

정상균 교육협력국장

풍부한 행정경험 ‘실무형 리더’

풍부한 행정경험과 뛰어난 통찰력으로 현안 해결 능력이 탁월하며 차분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맡은 바 임무를 확실하게 처리, 실무형 리더라는 평.

 

1961년생으로 행정자치부에서 오랜 공직생활을 한 뒤 지난 2009년 인재개발원을 통해 경기도와 인연을 맺어. 여주부시장과 평택부시장을 역임.

 

김건중 농정해양국장 

특유의 친화력, 선후배 두터운 신망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특유의 친화력으로 공직 선후배들에게서 신망이 두텁다는 평. 

1980년 경기도 반월지구출장소 재무과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해 교통계획과를 거쳐 팔당수질개선본부장, 문화산업과장, 교통정책과장, 대중교통과장, 양주부시장 등을 역임.

최원용 일자리정책관 

조직운영 갈등 조정능력 탁월

적극적인 업무 마인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조직 운영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 갈등 조정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

 

1967년생으로 서울대 행정학과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지방고시 1기 출신으로 지역정책담당, 지역정책과장, 체육과장, 의왕시 부시장, 농정해양국장 등을 역임.

김준태 수자원본부장 

온화한 성품과 합리적인 리더십 

경기도 건축직 공무원의 대표 주자로 뛰어난 업무능력을 바탕으로 합리적 리더십을 을 발휘하고 있으며 온화한 성품으로 정평.

1979년 공직에 입문해 도시재생과장 및 건설본부장을 역임했을 뿐만 아니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전문위원 등을 역임.

 

이세정 복지여성실장

평택항 활성화·해양안전 이끌어

평택항 활성화 추진, 해양레저 관광 육성 및 지원, 해양안전계획 수립, 해양항만시설 관리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전. 평소 직원들과의 소통에도 힘쓰는 소통형 리더.

 

1958년생으로 한세대 목회학 석사. 언제나민원실장, 철도물류정책과장, 해양항만정책과장 등을 역임.

우미리 여성가족국장 

프로야구 인프라 확충 일등공신

경기도청 첫 여성 기술직 총무과장으로 여성 특유의 세심함을 바탕으로 도정 살림살이를 안정적으로 맡아 수행했다는 평. 

특히 체육과장으로 재직하면서 프로야구 제10구단 ‘kt wiz 시민 서포터즈 페스티벌’ 행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등 야구 인프라 확충ㆍ지원 등을 추진한 공로가 인정돼 여성가족국장으로 발탁.

윤미혜 보건환경연구원장

여성 최초 보건환경연구원장

1961년생.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석사.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장과 보건연구부장, 북부지원장 등을 역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오랜 기간 근무해 온 경력과 그간의 능력을 인정받아 최초의 여성원장으로 발탁.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