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가 대기질 개선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대기배출시설 및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의 강력한 단속과 노후 경유차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 추진 등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지난 상반기에도 10억여원의 예산을 편성,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는 노후 경유자동차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비를 지원했으며, 대기 배출시설 및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588건을 점검, 위반업체 95곳에 대해 행정처분을 하고 50곳에 대해 사법당국에 고발조치했다.
또 폐기물소각시설 및 고형연료 제조 사용시설 등 폐기물 관련 시설 217개소를 점검, 39건에 대해 조치명령 등 행정처분하고, 무허가 및 조치명령 미이행 등 16곳은 사법당국에 고발했다.
이 밖에도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폐기물소각시설 9개소, 고형연료 사용제조시설 11개소를 특별점검해 부적정 연료를 사용한 6개소에 대해 행정처분과 함께 고발 조치했으며 폐기물 불법소각 의심 가구업체 등 35개소도 점검, 9개소는 과태료 처분했고, 도관장 대기배출시설인 고형연료사용시설에 대해 도에 강력 지도단속를 요청했다.
지난해 도 대기오염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오염 공간분포를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는 도시화가 완전히 진행된 일반도시보다 포천, 양주, 동두천 등 교외 복합도시의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농경지 등 나대지에서 비산되는 토양먼지(soil dust)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하반기에 6천여만 원의 예산을 투입, 농경지 및 대형 도로건설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흙먼지 등의 비산먼지를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오각균 경제복지국장은 “하반기에도 폐기물처리업체 점검과 함께 폐기물 불법 소각에 대해 지속적으로 특별점검하고, 각종 도로 공사뿐만 아니라 통계조차 안 잡히는 군부대 노후차량과 야외훈련 중에 발생되는 비산먼지의 관리를 위해 군부대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