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2일 국회의원,도의원,시의원,시 집행부 참여 당정협의회
부천시가 안산시와 서울 강서구 등과 함께 공동의 건립해 운영키로 했던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증설 계획이 주민과 시의회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에 시는 ‘당ㆍ정협의회’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할 전망이다.
20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5월 안산시, 서울 강서구 등과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증설 사업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시가 2002년 소각장 준공 당시 마련한 300t 규모의 소각 공간을 제공하고, 안산시와 서울 강서구가 사업비 전액 부담하는 조건이었다.
시는 3개 지자체의 소각장 광역화가 이뤄지면 단독 설치때 필요한 340억원을 절감하고, 향후 운영 과정에서의 운영비 부담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소각장 광역화를 위해 시가 지난 시의회 회기에 올린 ‘소각장 증설계획 기본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예산 14억6천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소각장이 위치한 대장동·오정동 주민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해당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에서 각각 부결된 것이다. 주민들은 지난 15일 시의회 청사 현관에서 사업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연좌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2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 등과 시청 집행부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ㆍ정협의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협의회에서는 수도권매립지 미반입 사태 등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소각장 증설이 필요하고, 예산 절감 차원에서 다른 지자체와의 광역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당론으로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회 한 의원은 “현재 부천시의회 구도상 더불어민주당 의원 전원이 찬성할 경우 이 예산은 통과될 수 있다”며 “소각장 광역화가 안될 경우 서울 강서구는 부천시 인근에 소각장을 건설할 가능성도 있어 광역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천=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