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의원 지도교수가 연구용역 총책임자

박사학위 취득시기에 도의회 용역 3개 잇따라 수주
용역보고서·논문 유사점 알고도 사실상 묵인 의혹
논문 평가한 심사위원 “내용 겹친다는 말 못들어”

경기도의회 용역보고서가 천동현 도의원의 박사학위 논문으로 둔갑해 물의(본보 25일자 1면)를 빚는 가운데 천 의원의 논문 지도교수와 연구용역 총 책임자가 동일인인 A교수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A교수는 지도하는 학생(천 의원)이 본인의 연구보고서를 똑같이 옮긴 것을 알고도 사실상 눈감아 준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사고 있다. 사회지도층인 대학 교수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더욱이 A교수가 수차례 도의회 연구용역을 수주받은데에는 천 의원의 영향이 상당했던 것으로 확인,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25일 경기도의회와 안성 한경대학교에 따르면 천동현 도의원(새누리당·안성1)이 주제선정부터 예산지원 등 전 과정에 사실상 개입해 만들어진 용역보고서 ‘경기도 선택형 맞춤농정 활성화 방안연구’을 두고, 해당 연구책임자 A교수가 천 의원의 박사학위 논문 지도교수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A교수는 심지어 천 의원의 졸업논문 평가 당시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했다. 즉 A교수는 스스로 만든 용역보고서와 천 의원의 논문 등을 사전에 둘 다 검토했던 당사자였다.

 

하지만 A교수는 천 의원 논문 평가 당시에 이 사실을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전혀 언급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천 의원의 논문을 함께 평가한 심사위원 B교수는 “논문과 용역보고서의 내용이 똑같은지는 경기일보 보도 이후 알았다”며 “논문 심사 당시에는 A교수가 두 개의 내용이 겹치는지를 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대학 교수가 자신의 연구보고서와 지도학생의 논문이 상당부분 겹친다는 것을 알고도 이를 사실상 묵인한 것이다.

 

또 A교수는 천의원이 회장 직을 맡았던 도의회 연구단체로부터 연구용역 3개를 잇따라 수의계약으로 수주한 것으로 확인됐다. A교수가 도의회 연구단체 연구용역을 수주한 것은 천 의원이 문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시기와 겹치면서 둘 간의 석연치 않은 관계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당시 A교수는 ▲경기도 G마크 축산물 활성화 방안(2012년·1천750만원) ▲경기도 축산분야 친환경인증사후관리(2013년·1천577만원) ▲경기도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2014년·1천847만원) 등 연구용역보고서를 해마다 제출했다.

 

도의회 한 관계자는 “도의회에서 지원하는 연구용역은 한해 평균 30건에 불과하다”면서 “한 연구회에서 맡기는 용역은 일 년에 평균 한 건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천 의원은 “한경대가 도내 유일한 농업특성화 대학인 탓에 용역을 맡긴 것이지 A교수와는 관계가 없다”면서 “박사학위를 위한 논문 작성 시에도 A교수의 지시만 따랐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천 의원은 자신의 논문과 A교수의 보고서가 상당부문 내용이 겹친다는 것에 대해 입장을 번복, “논문과 보고서의 내용이 똑같은지는 나도 몰랐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본보는 이와 관련해 A교수에게 수 차례 입장을 물었으나, A교수는 답변을 회피했다. 

조철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