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스마트시티 ‘이상 기류’

인천시 두바이와 토지매매 난항
협상마감 앞두고 땅값차 못좁혀
성패 달린 검단새빛도시도 먹구름

인천시가 검단새빛도시 개발사업의 출구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에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의 첫 외자유치 사업인 검단스마트시티의 성패가 달린 토지매매 협상이 다음달 22일까지 마무리돼야 하는 상황에서 인천시가 협상 결렬 가능성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토지매매 자체가 물 건너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시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국영기업 스마트시티사와 토지매매 협상을 벌이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다음달 22일 이전에 토지매매 협상이 이뤄져야 한다. 협상이 타결되면 후속 작업으로 마스터플랜 수립,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등을 진행해 이르면 내년 착공한다는 목표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은 글로벌기업과 국내기업 1천개 이상을 유치해 국제첨단산업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또 주거, 상업 시설 외에 교육시설을 조성해 자족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지지부진한 검단새빛도시 개발사업을 정상 궤도에 올리겠다는 방침이다.

 

결국 검단새빛도시 개발사업의 성패가 스마트시티사와의 토지매매 협상에 달린 셈이다.

 

시는 지난달 27일 본격적인 토지매각을 시작한 이후 원만한 협상이 이뤄지고 있으며 사업도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자신감을 보여왔다.

 

토지매각 협상을 시작한 지 한 달이 지나도록 타결이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양측간의 가격에 대한 입장 차이로 난항을 겪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며 일축해왔다.

 

하지만 이날 시 관계자는 “협상이 결렬되고 외자유치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인천시가 크게 손해 볼 게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같은 시의 입장 변화는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시티사와의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다는 지적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이 물 건너 가게 되면 시 산하 기관인 인천도시공사의 손실은 불가피하다. 또 1년이 넘는 공백에 따른 금융비용의 증가로 땅 값이 올라 다시 택지개발사업으로 추진한다 해도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2조4천99억원을 투입한 검단새빛도시 개발사업은 10년이 다 돼가지만 이름(애초 검단신도시)만 바뀌었을 뿐이다. 지금까지 회수한 금액은 335억원으로 총 사업비 5조4천837억원의 0.6%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시는 검단새빛도시 내 460만㎡ 부지에 추진하고 있는 검단스마트시티 가용부지의 땅 값을 부지 조성비와 그동안 들어간 금융비용 등을 포함해 3.3㎡당 650만원 안팎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사 측은 500만원 대로 낮춰 매입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3.3㎡당 100만원 이상의 차이를 좁히지 못해 결렬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변주영 시 투자유치담당관은 “MOA를 토지매매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큰 손해를 보지 않도록 인천시의 입장을 고려해 체결했다”며 “스마트시티사와 토지매매 계약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인천도시공사는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라 당초대로 사업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