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한달 만에 조직개편 움직임… 후유증 앓는 부천 ‘행정복지센터’

전국 첫 ‘시·구·동→ 시·동’ 체제로
3개 區서 처리하던 건축·설계 업무
10곳으로 분산되면서 효율성 논란
市 “문제점 파악 후 필요하면 개선”

부천시가 ‘구(區)’를 폐지하고 ‘행정복지센터’로 행정기구를 개편한 가운데 민원 불편이 야기되고 행정 공백이 생기는 등 문제가 속출하면서 시행 한 달여 만에 조직개편 이야기가 나오는 등 후유증을 앓고 있다.


9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전국 최초로 지난달 4일 ‘시-구-동’이던 행정기구를 ‘시-동’ 체제로 2단계 단순화시킨 행정개혁을 단행했다.


시는 원미ㆍ소사ㆍ오정구청을 폐지하고 2∼4개 동을 관할하는 10개의 ‘행정복지센터’를 출범시켜 부천형 복지체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청과 구청의 중복업무 35.5%가 사라지고, 3개 구청 폐지로 구청인력의 60%를 동 주민센터에 배치해 현장 행정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기구 개편 전에 우려했던 문제들이 터져 나오면서 시행 한 달여 만에 조직개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행정복지센터와 관련된 가장 많은 민원은 건축 분야에서 나오고 있다. 시는 기존 구에서 담당하던 건축 분야 업무를 행정복지센터에서 처리하도록 했다.


그런데 3곳의 구청에서 업무를 처리하던 건축사, 설계사 등이 최대 10곳의 행정복지센터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업무를 봐야 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다시 말해 예전에는 3곳만 가면 됐는데, 이제는 10곳에서 업무를 처리해야 돼 불편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민이 더 가까운 곳에서 업무를 보게 한다는 취지로 단행된 행정개혁이 대행 업자들의 편의 때문에 시행 6개월 만에 다시 개편되면 행정복지센터 도입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일부 행정복지센터의 경우 환경분야 직원이 한 명밖에 배치되지 않아 이 직원이 휴가 등으로 자리를 비우면 사실상 업무가 마비될 우려도 있다.


이같은 문제들이 도출되면서 시는 현재 행정복지센터와 관련된 TF팀을 구성해 효과적인 해결 방안을 찾은 뒤 연말이나 내년 초께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전국에서 처음 하는 행정체제이기 때문에 실제 운영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해 조직개편의 필요성이 있으면 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부천=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