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정부에 전곡항 일대 공유수면 매립 및 준설을 건의하고 나섰다. 접안시설 추가 확보와 선박의 안전한 출입로 조성을 위해서다.
10일 시에 따르면 채인석 화성시장과 제종길 안산시장은 지난 8일 오후 4시30분 남경필 경기지사를 접견하고 공유수면 매립 및 준설을 건의했다. 이날 건의는 ‘제3차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2011~2021년)’이 수립된 지 5년이 지난 데 따른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공유수면의 난개발 억제 등을 위해 10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5년이 지나면 타당성을 검토해 변경한다. 시가 도에 건의하면 도가 다시 해수부에 올리는 방식이다.
이날 시가 건의한 매립 및 준설면적은 서신면 전곡항 우측 공유수면 5만3천800㎡다. 매립면적은 2만5천65㎡로 가로 285m, 세로 90m의 공유수면 10여m에 흙을 채운다. 25만6천500㎥의 흙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준설면적은 28만8천150㎡로 6m 깊이로 파낸다. 16만8천900㎥의 토사가 발생할 전망이다. 시는 준설을 통해 생긴 흙을 매립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예상 사업비는 매립 384억7천500만원, 준설 52억3천600만원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이날 서신면 제부리~안산시 누에섬 사이 공유수면 32만㎡의 준설도 건의했다. 썰물 시 수심이 낮아 선박 운항이 어려운데다 해양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595억2천여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이 구간에 쌓인 6m 깊이의 퇴적물(192만㎥)을 퍼올린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3차 기본계획 변경이나 향후 4차 기본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도에 건의한 것”이라며 “전곡항을 경기지역의 대표적인 마리나항 허브기지로 발전시키는 데 꼭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수부는 광역지자체로부터 해양이용 변경 수요를 제출받아 전문기관 용역, 관계기관ㆍ전문가 의견수렴,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심의 등 절차를 거쳐 변경계획을 고시한다.
화성=박수철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