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안산시의회 제232회 임시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진희 부의장이 신상발언을 통해 “지난 총선 과정에 해당 행위를 했다며 (본인도)모르는 사이 중징계를 하고도 통보받지 못한 비통함을 참아내야 했다”면서 “추호도 부의장 자리를 탐해본 적도 그리고 야합 따위도 절대 없었다”고 밝혔다.
김 부의장은 또 “언제든 의회 정상화를 위해 미련없이 내려놓겠다는 약속을 지키고자 교황선출 방식으로 선출된 부의장직을 내려놓는다”며 “부의장직을 내려놓음은 부족함이 아닌 대승적 결정이며, 더는 시민과 집행부에 시의회가 싸우고 물고 헐뜯는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않길 바란다”고도 했다.
김 부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시의회가 시민을 섬기는 책임보다 권리에 치중하는 동안 의정은 제자리걸음만 하며 시민대표 기관으로서의 역할론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앞서 시의회는 의장단 선출에 이어 원구성 문제를 놓고 자리싸움을 하는 민낯을 그대로 보여줬다.
지난달 후반기 의장 및 부의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다수당이 의장직을 맡아 오던 암묵적 관행이 깨져 소수당이 의장을, 다수당이 부의장을 맡는 이변이 발생했고 의원들 간 반발, 갈등, 파행은 거듭됐다.
심지어 몇몇 의원은 청사 내ㆍ외벽에 볼썽사나운 문구가 적힌 현수막까지 내걸어 스스로 의회의 존엄성과 신성함에 먹칠을 하기도 했다.
시의회의 이런 진흙탕 싸움에 집행부는 물론 각 단체에서 상정한 안건들은 제때 처리되지 않았고 특히 ‘안산시금고 지정에 관한 조례와 시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등 시급을 다투는 사안도 발목이 잡히면서 공분을 샀다.
이 같은 시의회의 행태에 시민들은 “일하지 않는 의원에게 의정비를 줘야 하냐”며 준엄한 질타를 가했다. 문제의 중심에 섰던 김 부의장으로서는 선택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비록 다소 늦었지만, 중대 결단을 내렸다.
‘정치 초년생’이라고 스스로 말하는 김 부의장의 용감한 판단에 이제 선배 정치인들이 답할 때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