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 ‘광역소각장’ 예산 통과여부 관심집중

부천시가 지난 7월 시의회에서 부결된 ‘광역소각장’ 관련 예산을 또다시 상정해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는 오는 9월 1일 개회하는 제215회 임시회에 ‘폐기물처리시설 기본계획 수립 및 환경영향평가’ 예산 14억4천300만 원을 상정, 심의를 요구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7월 서울 강서구, 안산시 등과 함께 사용할 소각시설 설치를 위해 관련 예산을 시의회에 올렸지만, 본회의에서 부결돼 추진이 중단됐다. 시는 현재 소각장에서 처리하지 못해 하루 60t가량을 수도권매립지로 보내고 있는 상태로, 앞으로 수도권매립지 반입이 금지돼 증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시 단독으로 소각시설을 설치하면 수백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지만, 이들 지자체와 함께 하면 설치비, 운영비 등이 절감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회는 주민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이후 시는 소각장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20여 차례에 걸쳐 설명회를 하는 등 광역소각장 필요성을 알리며 재추진했다. 하지만, 주민설명회가 예정된 장소에 주민이 참여하지 않아 무산되는 사례가 빈번했고 대장동 주민과 일부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소각장 증설 저지 대책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광역소각장 반대 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됐다.

 

대책위원회는 이날도 보도자료를 통해 “시는 그동안 주민 설명회, 공청회 등 시민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대장동에 광역소각장 증설을 추진했다”며 “대장동 소각장 증설 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시의회의 정당 분포 등을 고려할 때 이번에는 광역소각장 관련 예산이 통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소각장 시설 증설은 꼭 해야만 하는 사업이다”며 “이 사업을 추진하는데 시 단독으로 하게 되면 수백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광역화를 통해 예산 절감 효과를 도출하려는 것이다”고 말했다.

부천=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