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맹호 공동위원장은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은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관련 자치단체의 건의와 주민들의 뜻을 외면하지 말고 조속히 국가 하천으로 지정해 주길 정부에 정중히 요청한다”며 “올해 안에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수도권 서부 경인지역 200만 주민들과 오랜숙원이 해소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추진위는 앞으로 범시민 10만인 서명운동과 함께 김포, 부평, 계양 등 관련 지자체 주민들과 연대해 굴포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때까지 모든 노력을 다해나갈 계획이다.
추진위는 경기도 등 3개 광역자치단체, 부천시 등 5개 기초자치단체를 경유하는 굴포천의 경우 각 자치단체가 관할지역을 관리하는 현 시스템으로는 체계적인 하천관리가 불가해 국가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굴포천은 1990년대 중동신도시가 건립돼 하천 정비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강우시 범람이 잦았으며, 지금도 대부분의 생활하수로서 수질개선을 위한 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라며 “굴포천 인근에 거주하는 부천 등 200만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차원 지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이같은 이유로 지난 2008년 경기도에서 국가하천 지정을 건의한 것을 시작으로 인천시, 부천시 등에서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으며 시민들도 간절히 바라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가하천으로 지정 받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14년8월 부천지역의 정치인, 기관, 단체장, 종교인 등 50명의 인사가 참여해 발족한 추진위는 그동안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부천=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